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d라이브러리
"
탐사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041년 한국은 최초의 유인 달
탐사
선 ‘치리호’의 발사를 6개월 앞두고 있다. 치리호의 발사는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펼치는 우주 경쟁 속에서 한국이 한몫할 기회로 꼽힌다. 한편, 땅 위도 평탄하지만은 않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결식아동,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도 아직 충분한 ... ...
[특집] 식물계절 연구 현장에 다녀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꾸준히 사진을 찍고 기록만 하면 되죠. 여러분이 지구사랑
탐사
대 식물 개화, 단풍
탐사
등 시민과학에 참여해 데이터를 쌓아준다면 연구자들은 그걸 토대로 식물계절과 기후변화에 대해 더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거예요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화분을 완성했답니다. 줍깅
탐사
전재현 기자줍깅
탐사
도전!어과동을 보고 주말에 줍깅
탐사
에 도전했어요. 이렇게 많은 쓰레기가 거리에 버려져 있다는 것에 깜짝 놀랐어요. 특히 담배꽁초가 많이 버려져 있었는데, 줍깅하는 어린이의 모습을 보면 어른들의 행동도 달라질 수 있겠죠? 따분행! ... ...
지구사랑
탐사
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햇살을 맞으며 휴식을 취하는 나비를 관찰했군요! 조류고유빈 대원 | 도요도요 팀
탐사
생물 검은머리방울새발견 위치 - 하정주 매니저더 좋은 기록이 되기 위해 GPS 정보를 기록해 주세요 ... ...
[지구사랑
탐사
대] 지사탐의 봄은 도롱뇽의 산란으로 시작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3월 10일 해가 저문 남산 공원에서 지구사랑
탐사
대 배윤혁 연구원과 하정주
탐사
매니저가 손전등을 켠 채 두리번거리고 있어요. 어두운 도심 산속에서 둘은 ... 따라 다양한 생물들을 만날 수 있으니 가족과 함께 익숙한 공간에서 색다른 야간
탐사
를 시도해 보면 좋겠다”고 당부했어요 ... ...
개나리데이 결과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지구사랑
탐사
대 10기 대원들의 첫 공식 활동, 개나리데이 미션이 3월 19일부터 29일까지 이루어졌어요. 대원들은 개나리의 개화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 총 708건의 기록을 남겨주었지요. 이를 통해 지역마다 꽃이 핀 시기가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 전국 방방곡곡 핀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5년경 인간을 달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준비 중이다. 약 50년 만에 재개된 유인 달
탐사
다. 이에 달의 환경에 ... 활동하는 미래 우주비행사를 위한 식량 자원을 개발해야 한다. 때문에 이 연구는 NASA의 장기 유인
탐사
목표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게 일과인 고양이 미리내가 전부였다.지구 자원이 고갈되기 직전에 인류는 태양계 너머
탐사
와 거주지 건설에 성공했다. 처음부터 계획해서 지어진, 인류를 위한 완벽한 거주지였다. 지구인의 95%가 이주를 결정했다. 3%는 건강상 이동이 불가능한 사람들이었고 2%는 떠나기 싫어한 사람들이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현재 상황에서 기습공격을 감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의미이기도 하죠.미국의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 스타링크도 활약했습니다. 통가가 해저화산 분화로 인터넷 해저케이블이 끊어져 재난구호 등에 필요한 최소한의 통신에 어려움을 겪자, 스타링크가 나서서 통가와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따라서 각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도 지구사랑
탐사
대와 같은 시민과학자들이 더 늘어나면 좋겠다”고도 했다. 그는 “연구가 심화하려면 교차 검증과 토론이 있어야 하는데 박쥐 생태연구팀이 적어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시민 과학은 생태계를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