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하
경축
하례
축제놀이
기념
d라이브러리
"
축하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높여 보자.매년 ‘3월 14일 1시 59분’이 되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는 생일
축하
노래‘Happy birthday to you’에서 생일을 파이데이로 바꾼 ‘Happy π day to you’ 노래를 부르며 기념파티를 연다. 그리고 파이를 먹는데 어떤 파이는 지름이 π 값에 가깝거나 π 모양으로 장식한다. 1987년부터 시작된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싶은 것이 많았습니다.박영진(이하 박): 오시느라 고생이 많았어요. 투표에서 1등한 것
축하
해요.김: 무선전력전송의 원리는 무엇인가요?박: 공진현상을 이용합니다.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9세기에 두 물체의 진동수가 맞으면 서로 같이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 현상은 ... ...
‘어린이과학동아’로 과학자의 꿈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특별 인터뷰의 첫 번째 주인공은 현재 경기과학고등학교 2학년에 다니고 있는 이호용 학생입니다. 호용 학생은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2년 동안 ‘어린이과학동아’를 보 ...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싶은 제 꿈을 이뤄갈 거예요! 내 사랑 ‘어린이과학동아’의 생일을 진심으로
축하
합니다~ ... ...
달력 그림에서 찾은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생활 모습이 담겨 있어요. 112쪽의 1월 달력에는 그림을 주문한 베리 공작이 새해
축하
잔치를 여는 장면이 그려져 있어요. 2월 달력에는 천을 짜거나 농기구를 수리하는 모습이, 7월에는 농민들이 밀을 수확하고 양털을 깎는 모습이, 9월에는 포도를 수확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어요. 이번 달에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깎지 않고 돌을 조립해 만들었지요. 그럼 과연 누가 맞혔는지 볼까요? 해태 군이네요!
축하
합니다, 제1대 전통 건축 퀴즈왕이 되셨어요! 아깝게 퀴즈왕에서 탈락한 불여우 양이 불꽃을 날리며 항의하고 있네요. 우리 소중한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저런 행동은 절대 하면 안 되겠죠?이제 ... ...
곤충들의 사랑이 뿅뿅뿅 우리 방금 결혼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업고 있는 것은 아기가 아니라 남편이란다. 음식을 먹어 주오~, 파리매우리 결혼식을
축하
하러 와 줘서 고마워. 우린 파리매라고 해. 이름에 ‘매’자가 들어갈 만큼 재빠르게 곤충을 사냥하는 실력이 일품이란다.우리들은 결혼을 할 때 수컷 파리매가 사냥한 곤충을 암컷 파리매에게 선물로 준단다. ... ...
초대받지 못한 손님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성대한 파티가 열리고 있다. 이번 영화의 성공을
축하
하기 위해 몇몇 지인을 초대한
축하
연이다. 갑자기 한 방의 총성이 울린다. 곧바로 유나의 죽음이 알려지자 파티장은 아수라장으로 바뀐다. 유나의 매니저는 즉시 별장 문을 폐쇄하고, 수학탐정에게 사건을 의뢰한다. 이윽고 수학탐정이 도착해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과학문화 진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다시 한 번, 과학동아의 30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
한다. 그러나 미래의 성숙한 성장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많은 질문을 던져야 할 상황이다. 그것이 모든 생일을 기념하는 이유다. 특히 한국의 과학문화를 이끌어가는 차원에서는 더더욱 중요한 질문들이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장군들은 원숭이 왕의 지혜로움에 감탄하며 산신령의 노여움을 풀 수 있게 된 것을 함께
축하
했습니다. 동물세계는 다시 잔치분위기를 이어갔습니다. 원숭이 왕은 저울을 이용한 부등식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지요.호랑이 왕 : 그런데 첫 번째 측정에서 저울이 수평을 이뤘다면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교수의 수상이 결정되자 러시아와 영국, 네덜란드가 동시에 ‘자국민’의 노벨상 수상을
축하
하고 나서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영국은아예 노벨상 수상의 경제적 효과까지 들먹였다.이런 현상은 과학자가 태어난 곳과 별개로, 수상자가 실질적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나라도 노벨상을 기념할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