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심
핵심
중앙
근원
추석
센터
축심
d라이브러리
"
중추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러나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의 언어
중추
는 중뇌 안쪽의 변연계에 위치하고 있다. 언어
중추
가 사고를 주관하는 대뇌에 위치하고 있는 인간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인간은 침팬지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기막힌 도약을 한 셈이다. ‘생각을 하면서 말을 한다’는 결정적 차이가 인간을 동물과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중에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개미와 같은 하등동물이
중추
신경계 없이도 복잡한 행동 양식을 취하면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데서 착안됐다. 이후 진행되는 지능형 로봇의 필수 불가결한 제어방식인 ‘행위기반 제어’의 효시가 됐다.행위기반 제어에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주력해 왔다. 유전적으로 섬유질이 인체의 기관에 두껍게 쌓이는 낭섬유증(cystic fibrosis),
중추
신경계가 점차 망가지는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그리고 성인당뇨병 등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연구했다.1990년대 초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막 시작됐을 무렵에는 연구를 진행하는데 지금보다 더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오른쪽 눈 위의 돌출부위에 있는 뇌의 전두엽 하단이 활발하게 반응함을 알아냈다. 웃음
중추
로 알려진 전두엽은 사회적 행동과 감정적 판단, 의사소통 등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포유동물 중에서도 고등동물에 잘 발달된 부분이다.시배터 박사는 “우울증 환자의 경우 전두엽 하단이 정상적으로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대해 논하고 있다.8장에서는 생물진화에서 밝혀지지 않은 분야인 생명의 기원과
중추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소개하며, 생물계의 특이 현상으로서 인간의 언어 활동과 그것이 갖는 인류 전체의 진화적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모노는 마지막 9장에서 현대사회의 최대 비극은 영혼의 질환이라고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바로 들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박테리아 크기인 0.3미크론에 가까운 미립자들은 호흡계의
중추
기관인 폐로 들어가 인체의 방어체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미립자들을 정화할 수 있는 필터로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가 사용된다.이것은 원자력 연구에서 연구원들의 건강에 위험을 ... ...
추위와 인체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파랗게 변한 입술, 오들오들 떨리는 근육. 그것도 모자라 매서운 겨울 바람이 옷깃을 파고드는 계절이다. 겨울을 지배하는 독재자, 추위에 ... 체온이 피부를 통해 자꾸 방출돼 버린다는 것이다. 게다가 감기 병원균 때문에 체온 조절
중추
도 제대로 작동 하지 못해 이상 현상을 보이게 된다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MPC)에서는 전세계 관측자료를 수집, 관리하며 정밀궤도 DB를 운영, 소행성 연구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미 국방성이 인공위성 탐지·추적과 더불어 소행성의 상층대기 폭발과 NEO 추적감시활동을 수행한다는 것. 이것은 관련 연구가 과학적으로 가치있는 결과를 제공할 뿐 ... ...
환자의 뇌를 갈아 질병 원인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잠복기를 거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했으며, 그의 연구는 쿠루병 외에 다른
중추
신경계 질환도 지발성 바이러스(인체에 감염된 후 아주 느리게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원인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함으로써 신경계 질환 연구에 커다란 전기를 마련했다.또한 가이듀섹은 시신을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운동이 유발된다. 즉 유치가 올라오는 3주 이후에 대뇌피질에서 씹는 행위를 담당하는
중추
가 성숙한다는 것이다.한편 껌 씹는 행위에 대한 놀라운 실험결과가 올 6월 일본의 치과학전문지인 ‘치계전망’에 인용됐다. 이에 따르면 껌을 씹을 때 뇌의 활동 모습이 복잡한 사고 행위를 할 경우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