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좌우"(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페이스ID가 일란성 쌍둥이를 분간하지 못했다. 또 카메라를 기준으로 얼굴을 상하좌우로 15도 이상씩 돌리면 인식하지 못했다. 이는 3차원 얼굴 인식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 국내 3차원 얼굴 분석 업체인 트라이큐빅스는 적외선 센서 없이 일반 카메라로 3~5초간 동영상을 찍어 얼굴을 3차원으로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용해되고, 암석으로 다져져 퇴적될 수 있는 조건은 온도와 압력, 조성비, 물의 산도 등이 좌우한다. 이산화탄소 순환 측면에서 방해석은 고체로 변한 이산화탄소 덩어리다. 따라서 방해석의 생성과 용해 사이클에서 지구온난화 해결의 열쇠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로봇이었다. M1은 16개 레이저 빛줄기로 사방을 훑는 라이더 네 개를 사용해 공간을 상하좌우로 스캔했고, 여기서 감지된 사물을 3차원 공간에 점으로 채웠다. 쉽게 말해 X, Y, Z축으로 이뤄진 3차원 좌표에 점을 찍으며 3차원 지도를 그린 것이다. M1이 매장 전체 약 3000m2 면적의 지도를 만드는 데는 2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몽타주 시스템에는 현재나 과거의 나이를 적용해 얼굴이 변하는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지고 나타난 거야. 이 카메라는 화질이 굉장히 좋아서 잘 찍히는 거래. 또 머리 부분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광범위한 구역의 사진을 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더라고. 각각의 사진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카메라 한 대로 둥지 수백 개를 찍을 수 있대. 지금 이걸로 눈이 오든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 있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찾았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손톱을 물어뜯거나 식사 뒤 꼭 커피를 마시는 등의 습관을 결정하는 건 한 종류의 세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 ... ...
- [수학뉴스] 상금 10억 원 걸린 체스 문제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찾는 겁니다. 체스 규칙에 따라 퀸을 놓아야 하므로 풀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퀸은 상하좌우뿐만 아니라 대각선까지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어떤 퀸이 다른 퀸을 공격하지 못하게 막으려면 모든 퀸이 서로 다른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에 있어야 하지요. 교수팀이 선보인 문제는 N개 중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의해 발생한다. 지구 곳곳에서 연간 80개 정도가 만들어진다. 태풍의 발생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는 해수 온도다.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 근처의 덥고 습한 공기가 위로 상승하고, 단열팽창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수증기가 응결 하면서 열을 방출한다. 방출된 열은 다시 주변 공기를 가열해 더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가운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성분이 있을까. 일회용 생리대의 기능을 좌우하는 흡수층부터 보자. 흡수층에는 목재펄프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윤혜정 교수는 “목재펄프로 만든 대표 제품인 종이는 먹어도 문제가 없을 만큼 독성이 없다”며 “목재추출물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