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개발해 유럽분자생물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 6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7554/eLife.52069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전자(OCT4)와 신경세포를 만드는 유전자(LHX3) 두 가지를 피부세포에 주입해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만든 뒤 척수가 손상돼 뒷다리를 못 쓰는 쥐에게 이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바다에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빠르고 효과적인 실종자 수색을 ...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월 26
일자
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수학연구소 교수팀이 그 답을 찾아 국제학술지 ‘IMA 응용수학저널’ 6월 2
일자
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만들지만, 얼굴에 마스크를 쓰는 과정에서 구멍이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별 연관성이 없어 보였다. 하지만 이 둘을 연결시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 4월 22
일자
에 실렸다. 팰크 아멜룽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해양지질학과 교수팀은 지난 200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많은 비가 화산 폭발을 촉진시킨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그간 빗물이 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에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
일자
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버넷은 ... ...
[수학뉴스] ‘핀볼 모형’으로 지진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지진이 무서운 이유는 피할 틈 없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의 지질학자가 이렇게 갑자기 발생하는 지진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 움직인 결과라는 것을 밝힌 겁니다. 이 연구는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 3월 3
일자
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암세포가 많아져 ‘악성 종양’이라는 큰 덩어리가 되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특히 다양한 세포가 경쟁을 해서 살아남아야 하는 일종의 게임으 ...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B: 생명과학’ 4월 22
일자
에 실렸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우주로 간 우주비행사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난관은 강력한 우주선(cosmic ray)이다. 고에너지 양성자(수소 원자핵), 헬륨 이온 등 다양한 입자로 구 ...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5월 19
일자
에 실렸다. doi: 10.1371/journal.pbio.300066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재료 화학’ 2018년 5월 25
일자
에 실렸다. doi: 10.1021/acs.chemmater.8b02049연구팀은 앞으로 퀀텀닷의 반치폭을 32nm 이하로 줄이는 등 고순도 퀀텀닷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 실험실에서는 인화인듐 퀀텀닷의 효율을 카드뮴 ... ...
[한페이지 뉴스]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오늘날 가장 큰 지지를 받는 은하 형성 이론에 따르면, 초기 우주의 거대한 원반 은하는 암흑물질이 꾸준히 중력 집결해 형성된 헤일로(halo·구 모양의 영역) ... 은하에서 관측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
일자
에 발표됐다. doi: 10.1038 /s41586-020-2276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