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로써 이전에 추진체 없이 가장 빠르게 수영한 로봇의 속도(1초에 몸길이 0.78배 거리
이동
)보다 4.8배 빠른 속도를 갖게 됐다. 정확한 속도는 1초당 85.27mm다. 연구팀은 지느러미 사이의 몸체를 둘로 나눠 좌우 회전이 용이한 나비봇도 개발했다. 인 지에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는 “나비봇에 ... ...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
이동
...양자가 열어준 토끼굴 속으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그냥 모든 단어 앞에 ‘양자’를 붙여 말하는 건가요?”영화 ‘앤트맨과 와스프’의 대사다. SF에서 양자란 단어는 있을법하지 않은 일을 ...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Part3. 양자전송으로 순간
이동
을 할 순 없더라도Part4.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편집자주. 본 기사에는 픽션과 논픽션이 섞여 구성돼있습니다. ‘래빗홀 컴퍼니’는 허구의 단체이며 기사 본문내용중 픽션인 부분은 기울여 적었습니다.래빗홀 컴퍼니의 양 ... 컴퍼니도 모르겠네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고객 여러분께 넘기겠습니다. 믿고 순간
이동
을 해보시겠어요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글로벌 젊은 과학자상(Global Young Scientist Award) 대상을 수상했다. 세포신호전달과 분자
이동
을 바탕으로 줄기세포를 이해함으로써 고등 생명체 합성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생명 탄생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동
시스템을 만들고,
이동
시스템이 다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더 좋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모든 노력이 교통공학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통공학은 교통계획뿐만 아니라 교통경제, 교통설계, 교통운영, 교통안전 등의 분야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교통 인프라를 최적 위치에 ... ...
[특집] 순간
이동
이 당연해진 세상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둔코프 박사는 순간
이동
에 ‘반’만 성공한다. 배터리 충전을 깜빡 잊는 바람에 순간
이동
장치가 머리를 전송한 다음 방전돼버린 것이다. 머리만 남은 그는 결국 박물관에 전시되고 만다. '워세권’의 탄생➡ 남대식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부동산 문제가 사라지진 않을 겁니다. 지금 ... ...
[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해킹하기란 불가능하단 의미에서 붙었다. 양자상태를 보내는 양자전송은 흔히 ‘양자의 순간
이동
’이라고도 불린다. 양자가 뭐길래 이런 거창한 별명이 붙는 것인지 그 원리를 뜯어봤다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
이동
을 할순없더라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빛의 속도로 매우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광섬유를 이용하면 매우 적은 손실로 원거리를
이동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섬유를 통해 보낸 광자가 광손실 탓에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약 100km의 광섬유를 통과하면 광자 100개 중 99개는 광손실로 사라지는 수준이다. 고전 광통신에서는 광섬유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시작한 은하의 암흑물질은 가스 물질과 마찬가지로 별 원반에 살짝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
한다. 어긋난 암흑물질은 가지고 있는 중력을 이용해 별 원반의 중심부를 끌어당긴다. 그 결과 은하의 별 원반은 가장자리는 그대로 있고 중심부만 살짝 움푹하게 끌려 들어간 바가지 같은 모양으로 휘어진다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인도주의적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 나아가 늘어난 인구가 음식을 먹고 차를 타고
이동
하면 앞으로 온실 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출산율을 억제하는 것이 정답일까?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해왔다. 조은주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20세기 중반 세계 인구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