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한국 내 수학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 덕분이었습니다. IMU
역사
상 한 번에 두 단계가 상향된 국가가 없었기 때문에 상당한 논란거리가 됐습니다. IMU 집행위원회에서 의구심이 생기면서 각종 추가자료 요구가 이어졌습니다. 2006년 수학 분야 논문 수로 보면 한국 수학은 세계 1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한편으로 짬이 날 때마다 다음 여행지를 알아봤고, 퇴근한 뒤와 주말에는 가려는 나라의
역사
와 문화를 책과 영화와 드라마와 다큐멘터리를 통해 공부하며 사전에 즐기느라 바빴다. 결혼한 직후 임신한 다음부터는 정신없이 세월이 흘렀다. 그녀는 자기를 에워싼 동물 로봇들에게 눈을 돌렸다.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 속의 샹들리에 산호히비스커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일’이 있고, ‘세상을 바꾼 식물이야기 100’ ‘식물: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 등을 번역했다. (※이달의 식물사연은 이번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동아>가 예상했던 대로 한국 수학의
역사
가 다시 쓰였습니다.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및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에서 교육받은 수학자 중 처음으로 필즈상을 거머쥔 것이지요. 국제수학연맹의 도움을 받아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기 전인 6월 15일 허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연구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단기간에 수학의 발전을 이룬
역사
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하승열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이번 IMU 5그룹 승격과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수학을 ... ...
[IMU 아바쿠스상 인터뷰] “여러 분야를 연결해 깨달음을 주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브레이버먼 교수가 IMU 아바쿠스 메달을 받고 미소 짓고 있어요. 컴퓨터과학은
역사
가 그리 길지 않아 새롭게 밝힐 연구도 많을 텐데요.앞으로 어떤 연구로 우리를 놀라게 할지 기대됩니다 ... ...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
가 다시 써진다!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
가 다시 써진다!Part1. [특집] 수상자는 누구? 2022 필즈상 대예측Part2.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두 줄기로 나뉜다. 콩고 분지를 중심으로 한 중앙아프리카 계통과 서아프리카 계통이다.
역사
적으로 중앙아프리카 계통의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높고 치명률이 10%로 위험했다. 서아프리카 계통 바이러스 치명률은 1~3%로 알려져 있다. 국제 게놈연구프로젝트인 ‘넥스트스트레인’에 공개된 게놈 ... ...
[이달의 식물사연] 검은 박쥐를 닮은 타카 칸트리에리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검은색 꽃은 자연에서 매우 희귀하다. 그런데 독특한 검은빛은 물론 모양까지 특이한 식물이 있다. 타카 칸트리에리(Tacca chantrieri) 다. 영어 이름은 ‘블랙 배트 ... ‘가드너의 일’이 있고, ‘세상을 바꾼 식물이야기 100’ ‘식물: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 등을 번역했다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서울대 연구소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이다. 이로써 한국 인터넷
역사
가 시작됐다. 세계에서도 미국에 이어 2번째로 이룬 성과다. 당시 한국은 기본 장치도 제대로 없던 곳이기에 이는 더욱 가치 있는 일이었다. 이런 도전 정신은 전 교수의 삶에서 비롯됐다. 1940년대 전쟁속에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