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설"(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물론, 동물 실험을 완전히 그만두겠단 뜻은 아냐. 당시 웰컴생어연구소는 동물 실험 시설을 수 년에 걸쳐 서서히 없애겠다고 공지하면서 “대안 기술이 많이 쓰이는 만큼 실험용 쥐가 이전만큼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지. 영국 웰컴생어연구소 마이크 스트라톤 이사는 연구소 내부의 동물 실험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발사 명령을 내렸을 때 나로호에 탑재된 제어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발사대 시설에 이상은 없는지, 발사 이후에 나로호를 추적할 레이더 장비 등이 문제없이 움직이는지 점검하는 게 목적이다.오전 종합리허설은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순서대로 진행됐다. 그런데 오후 3시경 갑자기 전화벨이 ...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호랑이 사육사인 민경록 주임도 “대형 맹수인 호랑이를 사육하는 국내 모든 시설은 울타리와 관람객들 사이에 공간을 둬 호랑이가 사람과 직접 접촉할 수 없도록 짓는다”며 “호랑이를 만지거나 호랑이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경우 호랑이를 자극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생 ... ...
- [스쿨리포트 A+] 과학실 안전과 연구 윤리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 교내 과학실에 있는 물품에 대한 취급법이나 안전시설에서 부족한 점을 발견했다면 이를 보고서나 발표를 통해 잘 전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학생들이 미처 알지 못한 점을 찾아낸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 윤리 파트에서는 생명존중과 연구 ... ...
- [예술이 된 우주] 우주에서도 눈송이가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발달하는데, 한정된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 사진 속의 육각형 벌집 모양이나 원형의 관개 시설이 필요하답니다. ‘외계인이 지구의 표면을 자세히 관찰한다면 어떤 모습을 발견할까?’가 궁금한 친구들은 구글 어스 뷰 (earthview.withgoogle.com)에 접속해 더 많은 사진을 찾아보세요 ... ...
- 세계경제포럼에서 한판 붙다! 트럼프 VS. 툰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막는 데 드는 돈은 ‘투자’로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돈을 들여 재생 에너지 시설을 지으면, 건설 노동자를 고용하고, 소비도 늘어서 경기가 좋아지는 데 도움이 되거든요. 에너지도 확보할 수 있고요. 들어간 돈보다 더 나은 효과를 가져오니 투자라 할 수 있죠. 반면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캠프의 불을 밝힌다?난민 캠프는 전기가 부족해 밤이 되면 컴컴해져요. 게다가 화장실 시설도 열악해 각종 질병이 번지기 쉽지요. 두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화장실이 있어요. 영국 브리스톨 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 이오아니스 이에폴로스 교수팀이 개발한 ‘오줌으로 전기를 얻는 ... ...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특성화고 등 고등학생 1만558명을 대상으로 교과교실과 전공실습실을 포함한 학교 시설 및 환경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에서 일반고는 5점 만점 기준 3.6점, 과학고는 4.38점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성윤 양(경기 평택고 2학년)은 “모든 일반고의 과학 학습 환경이 과학고 수준으로 ...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시절 과학동아에서 적정기술과 관련된 기사를 많이 접했다. 적정기술이란 편의, 위생시설이 부족한 개발도상국 사회의 불편함을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오염된 물을 간이로 정수해 마실 수 있게 하는 필터 빨대가 대표적인 적정기술 제품이다. 과학동아에서 관련 기사를 읽으면서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바다로 방류돼요. 하지만 UNIST에서 배설물은 귀한 자원이에요. UNIST 캠퍼스의 생활형 연구시설 ‘과일집’은 배설물을 모아 에너지로 바꾸고, 이 에너지로 운영되지요. 화장실에 설치된 ‘비비변기’는 칸막이로 나뉘어져 있어 소변은 앞 칸에, 대변은 뒤 칸에 따로 모아져요. 배설물은 각각 미생물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