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통"(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말하고 눈으로 듣는 데 익숙해졌다. 마스크가 ‘뉴노멀’이 된 시대, 표정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살펴봤다. 표정은 감정을 보여주는 창이다. 표정과 감정 연구의 선구자인 미국의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놀라움, 두려움, 혐오, 분노(화), 행복, 슬픔 6가지 기본 감정이 복합적으로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통용되는 세상의 존재를 아는 것만으로도 세상을 달리 바라볼 수 있다”고 말했다.과학 소통을 해오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고 싶은 과학자의 입장에서 KAIST는 어떻게 변했으면 좋겠는지 물었다. 정 교수는 “대학이 파격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30대, 40대, 50대, 그 이상에서도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폴리매스의 매력은 뭔가요?폴리매스의 매력은 바로 관심사가 비슷한 여러 회원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전에는 이렇게 쉽게 수학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곳이 없었는데, 폴리매스가 바로 그런 곳이거든요. 또 제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 문제를 만들고 푸는 게 보람이 있고, 학습에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 Bluespear 님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직접 만나지 않고도 소통할 수 있는 ‘비대면 소통’이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줌과 같은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구석에서도 지인과 모임을 가지는 사람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허지원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는 “온라인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자가 되려면 연구자의 기본 소통 수단인 논문을 잘 써야 한다. 잘 쓴 논문은 다른 연구결과를 정확히 인용하고 데이터를 임의로 가공하지 않는 등 연구윤리를 준수해야 한다. 최근 일부 연예인이 학위 논문 표절 시비에 휘말린 것도 기본적인 연구윤리를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자를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신만의 개성을 얼마나 잘 녹여낼 수 있는가로 평가한다고 생각합니다.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도 중요합니다.Q4 건축사는 어떤 직장에서 일하게 되나?주로 시공사와 건축사무소에서 근무하지만,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인테리어나 디자인소품 업체 또는 국가기관 등에 종사합니다. 최근에는 해외로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추적해 목소리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방식으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하면서 세상과 계속 소통했습니다. 이런 호킹의 모습은 많은 장애인에게 희망이 됐습니다. 호킹은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기록은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호킹의 삶은 2014년 ‘사랑에 대한 모든 것(The ... ...
-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C, 자바(JAVA), 파이썬(Python) 같은 컴퓨터 언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AI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컴퓨터 언어를 공부할 수 없는 노릇이다. 이 때문에 자연어처리 AI가 등장했다. 원래 AI는 사람 수준으로 자연어를 이해하고 구사하기는 어렵다. 자연어와 컴퓨터 언어에는 큰 차이가 있기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과일도 썩는 현상은 식물이 공기로 소통하는 대표적인 예다. 식물 내의 칼슘 신호 전달로 소통하다는 연구도 있다. 이같이 식물의 신호전달에 관한 사례나 연구를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Q. 수학질문│보기의 ①, ② 모두 무한의 개념으로 식을 유도하는데 왜 ①은 틀리고, ②는 옳을까? ①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만드는 SW의 모든 알고리듬은 수학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업무와 관련해 소통할 때 대부분 코드와 수식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기하학적인 직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계학습과 딥러닝 알고리듬을 이해하고 코드를 짜야 해서 그 토대를 이루는 선형대수학이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