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존재
인생
실존
서바이벌
잔존
존속
생계
d라이브러리
"
생존
"(으)로 총 2,0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NASA도 가볍고 성능이 좋은 우주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7. 물곰이유 : 생명체 중 가장
생존
력이 강하고 극한의 환경도 버티는 물곰이 화성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보기 위해전인수 : 실험 정신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참고로 지구에서 발견된 박테리아 중 영화 ‘코난-바바리안(Conan the Barbarian)’에서 ...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강한 낮에 더 활발히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038/s41467-018-03922-5동식물의
생존
전략은 지구온난화 속도에 맞춰 계속 진화하고 있지만 한계는 분명 있을 것이다. 이상돈 이화여대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교수는 “동식물이 더위에 적응해나간다고 해도 강수량 변화를 비롯한 외부환경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걸렸다는 설정에서 시작하는 ‘반도’는 4년 뒤 폐허가 된 서울에서 ‘들개’라 불리는
생존
자들의 사투를 담아냈다. 영화에서처럼 이 세상에 좀비가 정상인보다 많아지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영화 속 좀비를 과학적으로 뜯어봤다. 모든 종의 장벽을 뛰어넘어 감염시킨다?▲영화 ‘ ... ...
[과학뉴스] 아시아 최초 청소년 기후변화 소송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있지요.청소년기후행동은 “대통령과 국회가 기후변화에 미흡하게 대처해 환경권과
생존
권이 침해됐다”고 청구 이유를 설명했어요. 우선 대통령이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을 만들며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지나치게 낮게 정해 파리협약*을 지킬 수 없다고 지적했어요. 파리협약을 ... ...
Chapter 02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2. 정체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피부의 상처 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딱지에서도 수년 동안 살아남을 정도로
생존
력이 뛰어나며, 단백질을 섞어 무기로 만들기도 쉽다. 더군다나 과거보다 훨씬 발전한 유전공학 기술로 더 높은 치사율을 행사할 여지도 있다.2017년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행정대학원) 내 벨퍼과학국제문제연구소는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STEP ① 숙주세포 탐색STEP ② 숙주세포 침투STEP ③ 유전체 복제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STEP ⑤ 바이러스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구조가 친수성과 소수성을 골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어
생존
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이 이중 구조가 세포 침투의 큰 장애물이다. 지질 이중층을 뚫기 위해 바이러스는 다양한 전략을 펼친다. 일반적으로는 내포작용(endocytosis)을 사용한다.내포작용은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연구에 따르면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는 30도를 넘는 더위에서는
생존
율이 떨어진다.
생존
율이 떨어지면 전파력이 일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이것이 전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전파력이 예상보다 훨씬 강하다는 연구 결과는 계속 나오고 있다.미국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가 작용해야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생존
하고 있다가 항원이 재침입할 때 재빠르게 세포독성 T림프구로 변해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큰 세포독성 T림프구의 활성을 적절히 낮춰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