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정
러브
사모
연정
흠모
경애
love
d라이브러리
"
사랑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필수경제] 서민의 소울푸드, 아아와 떡볶이의 배신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같죠. 부담 없는 가격으로 얻는 소소하고 확실한 행복이었습니다! 아아, 그런데 기자가
사랑
하는 음식이 더 이상 소소치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작황 부진, 밥상 가격까지 뒤흔들어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하락해 물건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제 상태입니다(과학동아 2월호 참고). ... ...
지구
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도 놓치지 마세요.지구
사랑
탐사대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식물개화이예진 대원 | 호기심대장진진이들 팀탐사 생물 갯버들발견 위치 경기 성남시 하정주 매니저갯버들의 꽃봉오리가 나왔군요! 예진 대원 ... ...
[인터뷰] 이상한 수학의 매력에 퐁당~!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파이(원주율)의 숫자가 규칙 없이 계속 이어지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세상엔 삶도
사랑
도 영원한 게 없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수학에선 어떤 숫자나 개념이 영원히 이어진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느껴졌어요. 김동휘 : 수학이 많은 기술과 얽혀 있고 그만큼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 ...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제가 좋아하는 것 두 가지를 합친 일이 바로 수중 조각이에요. 저는 바다를 너무
사랑
해요. 18살부터 스쿠버다이빙을 즐겼는데 조각하는 것도 좋아해서 런던의 캠버웰 칼리지에서 조각을 전공했거든요. 처음 수중 조각을 시작한 것은 2006년이에요. 서인도 제도에 있는 그레나다의 작은 섬을 위해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했다.나태주 시인이 시 ‘풀꽃’에 썼듯,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
스럽다. 그래서 세계 각지가 가진 고유한 가치는 그 지역 사람들이 가장 잘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그간 세상의 아름다움을 말할 마이크는 공평하게 주어지지 않았다. 서양 사람들이 동양의 자연을 보고 독특하다고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사람을 먹으면 안 되는 매우 과학적인 이유!’유튜브깨나 본다는 사람들은 한번쯤 마주쳤을 섬네일이다. 식인이라니, 과학 이야기를 할 게 뻔한데도 클릭 ... 오랜 시간 공들여 연구하는 만큼 세상에 기여하는 일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능력에 비해 과분한
사랑
을 받고 있어 감사합니다 ... ...
[지구
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도 놓치지 마세요.지구
사랑
탐사대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조류김경란 대원 | 제주김가네 팀탐사 생물 참새발견 위치 제주도 제주시 하정주 매니저위쪽 지역보다 비교적 따뜻한 기후의 제주도에 있는 ... ...
[과학 뉴스] 울릉도 개구리는 침입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월 24일, 어과동 지구
사랑
탐사대 참여 연구원인 중국 난징임업대학교 동물행동생태및보전연구실 배윤혁 연구원이 울릉도에 침입한 개구리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어요. 울릉도는 한 번도 육지와 땅이 연결된 적이 없는 화산섬으로 자기만의 생태계를 꾸려왔어요. 원래 울릉도에는 개구리가 살지 ... ...
제주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과학동아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이 행사를 함께 주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지구
사랑
탐사대 대장이자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인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가 참가자들을 이끌었다. 과학동아 독자 18명도 이 행사에 함께 참가했다. 생물을 기록하는 방법은 쉽다. 생물 사진을 찍고 소리를 녹음한 뒤 ... ...
[이달의 책] 미스터리한 글귀를 과학지식으로 풀다 외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하나 내지 않은 채 손으로 잡을 수도 있게 된다.기자는 10년 전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지구
사랑
탐사대를 만들면서 작가와 비슷한 경험을 했다. 곤충 채집에 처음 모인 어린이들은 곤충을 ‘벌레’라고 부른다. 그러다가 몇 달이 지나면 ‘곤충’이라고 부르게 되고, 그다음엔 ‘왕귀뚜라미’라고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