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계통수 ➊). 그런데 b가 a에는 없고 c에만 있는 유전자200개를 가지고 있다면, b와 c의 뿌리를 연결한 계통수를 그릴 수 있다(계통수 ➋). 어느 쪽이 정답일까. 정답은 ➊도, ➋도 아니다. b와 c 사이의 유전자 200개는 수직적으로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주고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말부터 시작될 2단계 사업의 화두는 ‘지속가능성’이다. 1단계 사업의 성과를 현지에 뿌리내리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네팔 카트만두 의과학대 비라즈 카마차랴 박사는 “개발도상국의 대학은 새로운 연구를 하기보다 선진 과학기술을 습득해 교육 수준이 낮은 지역에 전수하는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모두들 정말로 즐거워 보였다.이들은 앞으로 삼 주 동안 자신의 DNA를 채취해 유전적 뿌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한다. 기자가 방문한 날은 첫 수업으로, 입속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채취해 중합효소연쇄반응(PCR)으로 DNA를 증폭했다. 그 뒤 외부의 서열분석 업체에 의뢰해 DNA 서열을 읽는다.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오면 단풍잎은 아름다운 가을색을 띄게 되는데 이는 잎에서 분해된 영양분을 줄기나 뿌리로 보내어 저장하는 이미 예정됐던 노화프로그램의 결과이다. 즉, 잘 늙음으로써 충분히 저장한 영양분을 이듬해 새 잎을 만드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삶의 정해진 순서를 따르는 것이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자가치료 행동은 오래 전 우리 인류와 아프리카 대형 영장류 조상의 삶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의 인류학자 카렌 하디 박사팀이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를 2012년에 분석한 결과, 영양분이 거의 없는 쓴 식물을 섭취했다는 사실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가거든요. 그래서 ‘독립 영양 생물’이라고 부르지요.식물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잎에 있는 *기공으로 들어온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빛 에너지를 이용해 엽록체에서 포도당을 만든답니다. 그래서 식물의 잎은 대부분 녹색이에요. 잎의 엽록체에 있는 엽록소가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앞으로 mtDNA가 활약할 분야는 맞춤형 진료와, 자신이 속한 하플로그룹을 확인해보는 ‘뿌리 찾기’다. 하플로그룹의 기준이 되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은 보통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어떤 하플로그룹이 퇴행성뇌질환과 암 등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짧은 서열 덕분에 분석 비용이 적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객관화시켜 분리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그 감정은 지난 며칠 동안 윤정의 마음 속에 뿌리를 내린 지 오래였다. 지금 은성 때문에 뛰고 있는 것은 윤정 자신의 심장이었다.기억 역시 분리하기 힘들었다. 윤정이 물려받은 기억은 칼로 자른 것처럼 경계나 모양이 분명하지 않았다. 감정이 은성의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렇다. 해밀턴이 ‘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가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스, 조지 윌리엄스, 메이너드 스미스 등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대중서에 불과하다는 폄하를 국내에서도 종종 접하는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새로운 문법이 필요하다지금 우리가 맞닥뜨리는 현상들은 근대적 삶의 양식 전체를 뿌리에서부터 흔드는 변화다. 프랑스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근대 휴머니즘에 은폐돼 있는 정치성을 폭로함으로써 근대의 종언을 주장했다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야기하는 변화들은 훨씬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