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
보라빛
바이올렛
오랑캐꽃
제비꽃
자줏빛
d라이브러리
"
보라색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만큼 눈부신 자외선이 아닐까? 반면에 M형 별 주위에 사는 우주인 아줌마들은 절대로
보라색
스커트를 입지 않으리라. 그들은 이렇게 얘기할지 모른다 "남편 눈에 잘 띄지도 않는 옷을 입어서 무엇에 쓴담? 역시 근적외선 체크 무늬가 제일 무난해!"빛은 정보(information)를 포함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 ...
화학- 색깔이 변하는 신비의 용액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될 것이고 건조하면 물이 증발해 푸르게 될 것이며 습도가 그 중간쯤 되면 색도 중간색인
보라색
을 유지할 것입니다. 종이의 모양을 깜찍하게 오려서 용액을 칠하고 벽에 걸어 둔다면 장식품도 되고 비록 자세한 습도는 알 수 없더라도 눈으로 쉽게 대강의 습도를 확인할 수 있는 훌륭한 습도계가 ... ...
물리 - 직류와 교류의 흐름 글씨로 나타낸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나타나죠. 이는 요오드화 칼륨이 분해에 의해 종이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과 반응해
보라색
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직류 전원 +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나고 -에서는 선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교류전원에서 점으로 나타난 부분은 양극, 선이 나타나지 않는 부분은 음극입니다. 교류전원에서는 ... ...
자외선, 피부암 유발의 원인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나머지 3% 정도가 자외선 영역이다. 뉴턴은 가시광선이 무지개와 같이 적색으로부터
보라색
까지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광물리학적 광화학적 광생물학적 작용이 다르기 때문에 다시 ABC로 구별돼 불리는 경우가 많다.자외선 C는 피부암 등 인체에 극히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비록 본래의 별빛 중 파란색이 빨간색쪽으로 이동했다 해도
보라색
이나 자외선에서 이동하는 것이 본래의 파란색의 자리를 메워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제 별이 색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어렵다. 그럼 도대체 도플러 효과에 의한 별의 적색이동은 무엇이고, 그것으로부터 ... ...
왜, 모든 원소들은 주기성을 갖는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요오드다. 상온에서 염소는 황녹색의 기체이고, 브롬은 적갈색의 액체이며 요오드는
보라색
고체다. 세 원소의 상태는 모두 다르지만 공통된 반응성을 나타낸다. 이 원소쌍은 금속을 매우 잘 부식시킨다. 이 원소 가족들은 금속과 반응해 염(salt)을 잘 만든다고 하여 할로겐이라 부른다. 할로겐은 ... ...
생물- 포도껍질로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물에 넣어 20분 정도 삶아줍니다. 그 후 꺼내 깨끗한 물에 잘 헹구어 말리세요.어때요? 연
보라색
으로 잘 염색됐지요. 염색용 크레용이 있으면 천위에 자기만의 개성적인 무늬나 글씨를 써 넣어 보세요. 색 바랜 헌옷이 과일 향내 그윽한 예쁜옷으로 되살아날 겁니다. 보너스 실험양파껍질로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있으면 파장이 짧아지고 진동수가 커져서 높은 소리가 나는 것으로 들리고, 빛에서는
보라색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는 파장이 길어지고 진동수는 적어져서 낮은 음으로 들리고, 빛에서는 빨간색 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파장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칡에 대해서는 어떠한 적절한 생물학적 통제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라색
좁쌀풀과는 달리 칡은 쓸모가 있는 식물이다. 일본인들이 2천년간 그렇게 생각해왔듯이. 아시아에서는 칡으로 종이와 옷을 만들고 가축을 먹이며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데 사용되었다. 알라바마주의 ... ...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쌓아야 할까요? 물론 가장 무거운 것부터 쌓아야 하겠죠. 설탕이 가장 많이 들어있는
보라색
의 설탕 용액부터 시작합니다. 왜 그러냐구요? 설탕이 많을수록 용액의 질량이 무겁기 때문이죠. 무지개 물탑 또한 잘 쌓기 위해서는 스포이드로 용액을 시험관 벽면에 조심조심 떨어뜨려야 합니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