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축구였다. 사실 축구로 결론이 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김교수는 어려서부터 무 뽑은
밭
에서, 해 저문 운동장에서 축구를 하며 지낸 축구광이었다. 축구에 관한 한 규칙에서부터 모르는 것이 없었다.축구를 좋아한 것도 중요했지만 아무것도 없던 것에서 로봇축구라는 과학이벤트를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루었던 사람들과 우리는 어떠한 관계에 있을지 궁금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농부들이
밭
을 일구다가 우연히 찾은 여러 고고학 유물은 그 땅에서 그 농부가 처음으로 정착한 것이 아니었음을 일러준다. 이때 농부는 그 이전의 문명에 대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질 것이다. 서낭당과 비슷한 몽골의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기 때문이다. "아직 자만하기는 이릅니다." 실험실에서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밭
에 재배하는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변수들로 수포로 돌아가는 일을 걱정하는 권 교수의 말이다. 현재 연구실에는 박사과정 8명과 석사과정 6명이 권 교수와 일체가 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식 유전공학을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식물의 경우에도 비슷한 예가 많다.
밭
에 고추를 키우면서 자주 겪는 일이다. 다른
밭
곡식도 마찬가지지만, 어쩌다 키가 작고 줄기가 땅딸막하게 비틀어진 녀석이 있다. 다른 고추에 비해 자라나는 모양이 형편없지만 언제인지 모르게 녀석은 남보다 재빨리 한두개의 빨간 주머니를 매단다. 모든 ... ...
고추의 매운맛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촉발돼 뇌는 이를 고통으로 인식하는 것이다.연구자들은 애리조나 남부의 칠레고추
밭
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결과, 개똥지빠귀와 같은 새들만 칠레고추를 먹고 선인장 쥐나 다른 종류의 쥐들은 주변에 있는 맵지 않은 빨간색 열매만 먹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험실에서도 쥐들은 맵지 않은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없어 보이는 돌덩이를 망치로 두들겨 식물화석의 흔적을 찾는 재미가 쏠쏠하다.화석
밭
구문소태백에서 삼엽충화석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동점동 구문소, 나팔고개 산비탈, 그리고 장성동 직운산 일대다. 직운산 일대의 삼엽충 군락지는 일반인들의 무분별한 채취를 막기 위해 1986년 강원도 ...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야기를 하면서도 자신이 앉은 풀
밭
을 격자로 나누어 한 격자 속의 벌레 수를 세고 풀
밭
전체의 벌레 수를 계산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샴푸에서는 계면활성제를, 단풍에서는 안토시아닌을 찾아내는 그들은 생활의 모든 곳에서 과학을 발견하고 즐기는 사람들이었다.그리고 ... ...
성모 마리아가 토끼를 발로 밟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목이 부러져 죽고 말았다. 덕분에 공짜로 토끼를 얻은 농부는 농사를 집어치우고 매일
밭
둑에 앉아 지난번 그 그루터기에 토끼가 부딪쳐 죽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토끼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고 농부는 온 나라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됐다. 변통할 줄 모르고 늘 해오던대로만 하려고 하는 게으른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수 있다. 즉 태종 20년에는 대호(大戶)는 2백 주, 중호(中戶)는 1백 주, 소호(小戶)는 50주를
밭
에 심도록 하고 만일 이를 시행치 않을 시에는 벌을 내린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 닥나무와 관련된 내용이 24회나 언급돼 있는데 특정 수목에 대한 내용이 이렇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도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진풍경은 돼지나 닭이 마음대로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모습이었다. 당시 수도승들은 직접
밭
을 갈고 가축을 기르면서 자급자족하는 분위기였다. 수도원 속에 풀어놓온 가축들은 1년 내내 제멋대로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아다녔다.어느날 발렌티누스는 자신이 버린 쓰레기더미에서 재미있는 광경을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