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학과에 진학했다. 29세에 같은 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다.  꿈을 이뤄가는 듯했으나 퍼듀대를 졸업한 뒤 또 다른 시련이 찾아왔다. 무려 7년 동안 연구가 가능한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 곳곳을 전전하며 샌드위치 가게, 숙박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분에 5400번 회전한다는 뜻이다.  실험 하나 더!병뚜껑으로 작동하는 분수를 만들자!섭섭박사님은 아까 실험에 쓰고 남은 음료수병으로 새해 축하 기념 분수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어요. 대체 분수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 걸까요?   왜 이런 일이?> 결과 : 플라스틱 컵을 통해 페트병 내부의 물이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전파를 모형화할 수 있어요. 연구를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어 좋아요. DART 미션은 박사 지도 교수님의 권유로 2019년 9월 공식적으로 참여하게 됐지요.” 웬디 연구원은 DART 팀 중 ‘충돌 모형화 작업 그룹’에 속해 있어요. 이 그룹은 소행성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궤도가 어떤 식으로 바뀔지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오염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 레이저 물리와 비선형 광학 박사이며, 미라틀라스 공동설립자 겸 대표이사인 장-에두아 커뮤날 대표는  독자에게 이 말을 꼭 전하고 싶다고 했다. 그의 학창 시절 물리 선생님으로부터 감명 깊게 들은 말이라 한다.   자연은 ... ...
                            
 
                        
                        
                                            
                                                            
                                                             - [특집] 순간이동이 당연해진 세상과학동아                                        l2023년 01호
 
                            - 1877년 발표한 단편소설 ‘몸이 없는 남자(The man without a body)’에서다. 주인공 둔코프 박사는 순간이동에 ‘반’만 성공한다. 배터리 충전을 깜빡 잊는 바람에 순간이동 장치가 머리를 전송한 다음 방전돼버린 것이다. 머리만 남은 그는 결국 박물관에 전시되고 만다. '워세권’의 탄생➡ 남대식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전송을 처음 제안한 건 1993년 미국의 IT 기업 IBM의 과학자들이었다. 찰스 베넷 박사 연구팀이 내놓은 아이디어는 이후 1997년에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 빈대 교수팀에 의해 실험으로 구현됐다. 차일링거 교수는 이 양자전송 실험을 포함해 양자정보과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잘 할 수 있었던 일인 과학 연구로 결국 마음의 빚을 덜었던 것 아닐까? 오해3. 우장춘 박사는 학문적 업적이 부족하다? 우장춘은 일본과 한국에서 여러 실용적 연구 성과를 남겼다. 일본에선 교토의 세계적인 종묘 회사인 타키이에서 배추, 양배추 등 십자화과 작물의 종자 생산을 연구했다. 한국에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2022년 한국줄기세포생물학회(KSSCR)와 Kbio-X 가 주관하는 글로벌 젊은 과학자상 ...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마그마 바다에서 오늘날의 지구가 되기까지, 우리 행성은 끊임없이 진화해 왔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화산 폭발은 지구가 현재도 꾸준히 활동하고 ... 2017년에 석사, 2022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우수박사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 lac0312@snu.ac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04년 경북대 전자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2009년 미국 워싱턴대 세인트루이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뉴욕주립대 버팔로캠퍼스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13년부터 포스텍에서 연구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차세대 의료영상 기술 개발, 임상적용 및 기술사업화다. 2017년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