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사람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쉴 새 없이 눈을 깜빡여요. 성인은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학자 마리암 미르자하니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유필상 서울대학교 교수는 “콘체비치 교수와 오쿤코프 교수가 필즈상을 받은 것은 오로지 위튼 추측 증명 때문만은 아니지만, 미르자하니의 경우 이 문제를 푼 것이 필즈상의 주요 업적 중 하나”라며, “미르자하니는 ...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구체적인 증거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퍼시 디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리통계학과 교수가 2007년 2명의 공동 연구자와 낸 논문이다. 동전을 던지기 전,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동전을 던진 후 그대로 나올 확률이 약 51%라는 내용이다. 쉽게 말해, ‘앞’과 ‘뒤’라고 적힌 동전이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걸쳐 수학을 좋아하게 만드는 일을 제 업으로 삼고 싶었어요.” 박사 학위를 딴 뒤 한 대학교의 박사후연구원 제안을 거절하고, 바로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며 강연에 나섰습니다. 음악, 미술, 정치 등에서 수학적인 요소를 찾고 도서관에서 전 세계 수학자에 대해 조사하며 수학 강연을 기획했어요.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왔다. 증명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기 때문이다.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 증명에 관한 논의가 꼭 필요한 이유다. 오늘은 증명의 쓰임과 역사를 통해 그 역할과 중요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첫 번째 질문 |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합니다”라며 말문을 열었습니다. “저는 나름대로 성실한 사람이었다고 생각해요. 대학교까지도 성실하게 살았고, 공부도 열심히 했고, 성적도 좋았던 모범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2020년에 팬데믹이 터졌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최 씨는 자취를 하고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교수는 이 지수가 40이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추정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위튼 교수는 실로 대단한 물리학자임을 알 수 있지요. 용어 설명*양자장론 : 전기장, 자기장처럼 공간에 펴져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앞면이냐 뒷면이냐! 온전히 운에 맡긴 결정을 하고 싶을 때 우린 ‘동전 던지기’를 한다. 어떠한 편견도 실력도 꼼수도 통하지 않는 공정한 의사 결정 방식이란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월 전 세계 48명이 무려 35만 757번이나 동전을 던져 이 믿음을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무작위한지, 나아가 무작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서인석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룰렛 돌리기, 노래 셔플 재생 등은 컴퓨터가 무작위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뒤엔 원리가 있어서 완벽히 무작위하다고 보기 ...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해결 과정이 복잡한 문항’이라고 밝혔지만,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인 고호경 아주대학교 교수는 오히려 ‘훌륭한 문제’라고 평했어요. 그는 “3차 함수의 기울기, 증가와 감소 개념을 배웠다면 충분히 풀 수 있다. 그래프를 직접 그려보며 답을 찾아낼 수 있는 좋은 문제”라고 분석했어요.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