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타내기"(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모노는 이와 같은 근대 과학의 철학적 가정을 비판한다. 자연과학은 신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자연과학은 그 자체의 가치적 원리를 따라 자율적으로 전개돼야 하며, 이때 객관성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지식의 윤리가 존중돼야 ...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청’(靑)이라고 적어둔 까닭이 무엇인지는 알 도리가 없다. 靑이란 것이 맑은 정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북두칠성의 맑은 기운을 나타낸다고 하는 주장도 있지만 어느 누구도 정답을 알 수는 없을 것 같다. 판독의 오류일 수도 있고, 아니면 청과 성이 소리가 비슷하니 장인이 먹글씨를 쓸 때 착각했을 ... ...
- 양자역학의 해석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상태가 겹쳐 있는 상태로 표현된다. 제곱근이 되는 까닭은 파동함수의 제곱이 확률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뚜껑을 열어 보는 순간, 고양이는 살아 있거나 아니면 죽어 있거나 둘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뚜껑을 열어 보는 행위, 다시 말해 측정행위 때문에 |ψ>→|生> 또는 |ψ>→|死>와 ...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부르게 됐다(그림1).이번에 개발된 전자코의 장점은 냄새에 대한 반응을 색의 변화로 나타내기 때문에 결과를 이해하기가 매우 쉽다는 점이다. 시각의 도움을 빌어서 냄새 정보를 해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후각정보가 뇌속에서 패턴을 만드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 그렇다고 사람의 ...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과학동아 l2000년 09호
- 특히 가는 줄무늬가 화면에 있으면 그 주위로 무아레 무늬가 생긴다. 모니터에는 색깔을 나타내기 위한 빨강, 초록, 파랑의 세가지 화소가 있다. 이 세 화소의 위치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들 화소가 만드는 상은 약간 어긋나게 된다. 이 상들이 겹쳐져서 무아레 무늬를 만드는 것이다. TV ... ...
- 사이버 세계의 저항문화 안티사이트과학동아 l2000년 09호
- netian.com /~antiys)은 강하게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면서 한겨레21이 더 강한 비판적 논조를 나타내기를 바라고, ‘오버액션’(www.overaction.com)은 KBS를 패러디해서 KBS가 보수적이고 무비판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언론의 비판적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주식회사 ... ...
-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표현되고 무리수는 무한 연분수로 표현된다. 황금비 $\frac{\sqrt{5}-1}{2}$ 을 연분수로 나타내기 위해서,이를 근으로 갖는 이차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자.${x}^{2}$+ x - 1 = 0, x² + x = 1, x(x+1) = 1,이와 같이, 분모에 있는 x 를 $\frac{1}{1+x}$로 계속해서 바꿀 수 있으므로무리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밝혀졌다. 현대에는 별들의 등급을 정밀하게 분류하면서 0등급보다 밝은 별의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음수를 사용한다. 히파르코스 당시에는 당연히 1등급으로 분류됐던 시리우스는 -1.5등급으로 조정됐고, 금성은 -4.2, 보름달은 -12.5, 태양은 무려 -26등급으로 분류됐다.히파르코스가 나눈 별의 등급은 ... ...
- 2. 우애수, 완전수, 삼각수, 아라비아수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수를 나타낼 수 없었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점을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로 배열해서 수를 나타내기도 했는데, 이것으로부터 ‘다각수’가 유래됐다. 삼각형, 사각형, …으로 배열해서 나타낸 수를 각각 삼각수, 정사각수, …라고 한다(그림 2). 영어에서 스퀘어(square)는 정사각형과 제곱수를 동시에 ...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또는 원점을 내 맘대로 정할 수 있다. 적기의 출현을 알리는 비상경보에서 적기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원점의 선택은 내 마음이며, 심지어 방향의 기준도 내 마음이다. 우리가 사는 현실은 시간적, 공간적, 방향적으로 기준점을 바꾸더라도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 이를 전문용어로 시간의 균질성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