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학습에 사용된 대부분의 언어 자료가 표준어라 사투리는 알아듣지 못하지요. 하지만
곧
사투리를 알아듣는 인공지능이 탄생할 예정이에요.지난해 11월부터 인공지능(AI) 기업 솔트룩스는 ‘당신의 사투리를 삽니다’라는 포스터를 내걸고 인공지능 학습에 이용할 한국어 방언 정보를 대규모로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UV 레진으로 햇빛을 잡아보자 선캐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 10만의 꿈을 꾸고 있는데요. 선캐처로 좋은 기운을 긁어모으면
곧
이뤄질까요?야심 차게 선캐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투명하면서 원하는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소재를 찾아야 합니다. 이번 실험의 주인공인 자외선(UV) 레진이 바로 그런 소재죠. UV 레진은 물엿처럼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표정을 숨기지 못한 채 빨간색 셀로판지로 감싼 손전등을 이리저리 비추며 장난을 친다.
곧
이어 도착한 선생님은 어둠이 내려 앉은 밤과 달리 얼굴이 환하게 피어 있는 아이들을 불러모아 차근차근 앞으로 우리에게 일어날 일을 설명하기 시작한다. 1998년 11월 18일, 수능 전날 밤의 일이었다.사자자리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떠나자.”“네? 왜요? 조금 더 있으면서 말캉도 먹어보면 안 되나요?”하지만 딱지는
곧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사방에서 그렁그렁한 눈빛을 한 주민들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우주순찰대면 친절하게 우리 부탁을 들어주겠지?”“말캉 열매를 딸 일손이 필요한데….”“누가 우리 아이 수학을 ... ...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느 인공지능(AI) 연구소야. 저기 기계학습 알고리듬을 탑재한 AI 로봇 ‘아이폴리’가
곧
탄생하려고 해! 아이폴리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며 똑똑해질 거야! 이때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규칙을 찾아내 결과를 예측해 행동하지. 기계학습 AI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과학 뉴스도 다르지 않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새로운 약이
곧
개발된다는 뉴스가 범람한다. 쏟아지는 소식들 속에서 진짜 독자들에게 알려줘야 할 원석을 찾기란 쉽지 않다.이 책 속에서 지난 1년간 우리를 스쳐 간 과학 이슈 중 꼭 기억할 원석을 확인할 수 있다.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을 수밖에 없었어요. 학자와 충분히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점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기증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한국에 남겨진 유물 대부분은 박물관 수장고에 잠들어 있다. 큐레이터에게 선택돼 ... ...
에어택시, 하늘이 일상으로 들어오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혹은 지하 깊숙한 곳을 오갔다. 하늘은 일상보단 특별한 날을 위한 공간이었다. 그런데
곧
하늘이 일상 속으로 들어온다. 에어 택시(Air Taxi)로 불리는 도심용 항공 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q다. 도요타, 에어버스, 보잉, 조비 항공 등 세계 여러 기업이 뛰어든 가운데 한국에서는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쏘는 건 아침이 되고 이새가 없어졌다는 걸 다른 사람들이 알게 된 뒤여야 했다. 그건
곧
그 자리에서 그대로 날이 밝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었다. ‘괜찮을 거야. 몇 시간만 참으면 돼.’밤이어서 그런지 다쳐서 그런지 몸에 한기가 들었다. 이새는 움직이는 오른팔로 주변의 나뭇잎인지 뭔지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붕괴된 경우보다 더 많다는 결과가 발표된 것이다. 렙톤 보편성이 틀렸다는 것은
곧
현재의 표준모형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LHCb 연구팀은 이후 2015~2018년 데이터까지 모두 종합해 재검토한 결과를 3월 말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 B중간자가 전자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