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의
연설
강좌
강습
웅변
스피치
발표
d라이브러리
"
강연
"(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강연
에 참가한 김예림(서울 원명초 6)친구는 “
강연
을 듣고, 앞으로 공룡의 모습이 어떻게 바뀔지 궁금해졌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밟으며 좋았던 점 중 하나는 세계적인 석학으로 불리는 과학자들이 직접 와서
강연
을 하는 것이었는데요. 발생학과 관련된 연구 발표를 들으러 가 보면 발표자 10명 중 7명은 꼭 이 그림으로 배경지식을 설명하곤 했습니다. 영국의 발달생물학자 콘래드 웨딩턴이 제안한 ‘후성적 지대(epigenetic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여러 문제를 섭렵했던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도 이 문제에 도전했습니다. 1992년
강연
도중 이 문제를 언급하면서, 아주 좋은 문제고 내가 만든 문제라면 250달러 정도를 상금으로 걸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르되시는 자기가 낸 문제마다 난이도에 따라 1달러부터 5000달러까지 상금을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수여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수중로봇이 필요한 이유를 주제로 수중로봇 전문가의 특별
강연
도 열렸다. 장인성 KIOST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장은 “해양에너지나 해양플랜트 등을 유지하고 관리하려면 잠수부가 직접 바다에 들어가야 하는데, 20m 내외의 얕은 수심에서만 작업할 수 있고 위험할 수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한국을 찾았다. 4월 3일 오전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한국마이크로중력학회 초청
강연
과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그는 미국에서의 근황과 우주인 탄생 10주년을 맞는 소회를 솔직하게 털어놨다. 2시간 넘게 진행된 인터뷰를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Q. 한국 매체와 인터뷰하는 것은 정말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사이언스 바캉스에 참여했는데, 김호영 서울대 기계공학전공 교수의 생체모방기술
강연
에 매력을 느꼈다. 김 교수는 수면 위에서 점프하는 소금쟁이로봇 등 생체모방기술을 적용한 흥미로운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중학교를 졸업한 뒤 경남과학고에 진학한 김 씨는 자연스럽게 물리학과 수학에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쉬운 일은 아닙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교수는 2014년 세계적 지식
강연
인 테드(TED)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기계장치를 신체에 붙이는 방법을 모른다. 가장 성숙하고 오래된 기술 중 하나인 신발 때문에 오늘날에도 발에 물집이 생긴다는 점이 정말 놀랍다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파인만은 1959년 12월 29일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이런 제목으로
강연
을 했다. 내용은 개별 원자와 분자를 조작하 는 과정에 대한 것이었다. 아직 물리학이 발견하지 못한 엄청나게 작은 세계, 지금 표현으로는 ‘나노(nano) 세계’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198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꿈 구체화시켜이 씨의 꿈은 중학생 때 시작됐다. 우연히 서울대 평생교육원에서 열린
강연
을 듣고 처음으로 생화학이라는 분야를 알게 됐다. 분자 수준에서 생명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다고. 이런 관심은 공학적으로 생물 시스템을 만드는 합성생물학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됐다.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미국의 천재적인 이론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 미국물리학회 정기총회에서
강연
한 ‘바닥에는 여지가 많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의 내용을 원자에 입력했다. 이렇게 하면 가로, 세로 6.5cm 크기의 정사각형 칩에 500TB(테라바이트·1TB는 1조 바이트)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