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독"(으)로 총 6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전체 제작 프로듀서를 맡았던 ‘포비든 킹덤’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랍 민코프 감독은 본래 우리에게 9컷 정도 맡길 예정이었는데 시연 영상을 보고 30컷으로 늘렸다. 당시 회사를 창업한 뒤 전체 직원이 겨우 20명 정도인 상황에서 덜컥 일을 해야 했다. 영화 제작에 함께 해주셨던 모든 분들께 늘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주황색 태양빛은 4300K, 낮의 노란 태양빛은 5600K, 푸른 하늘의 파란색은 1만K이다.촬영감독은 이 색온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조명과 촬영할 색을 적절히 조절한다. 텅스텐 조명은 3200K, 촛불 2200K 등 이미 여러 광원이나 조명에 대한 색온도가 정해져 있어,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쉽게 색을 결정할 수 ... ...
- 알랑가몰라? 수영하는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모습으로 들판을 뛰어다니며 작은 공룡들을 잡아먹는 장면이 떠오른다.그런데 스필버그 감독이 티라노가 등장하는 영화를 또 만든다면, 이번에는 수영하는 장면을 찍어야할 듯하다. 티라노로 추정되는 공룡이 능숙하게 수영을 했을 것이라는 증거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칭 리다 중국지질대(CUG) ...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용하면 소리 소문 없이 4대 비극집을 완성할 수 있다고요. 작가님은 원숭이들을 감독하기만 하면 돼요.뭐…? 원숭이가 희곡을 쓴다고?원숭이가 을 타이핑한다고?!아무 생각 없이 컴퓨터 자판을 마음대로 두들기면 어떤 글이 써질까? 대부분 읽을 수조차 없는 외계어가 써질 것이다. 하지만 이 ... ...
- ‘킬 빌’ 닮은 말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타란티노 감독의 히트작 ‘킬 빌’. 주인공 ‘베아트릭스 키도’는 노란 트레이닝복을 입고 매력적인 액션을 선보인다. 최근 이 인물의 이름을 딴 기생 말벌이 발견됐다.도널드 키케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교수팀은 최근 새로운 기생 말벌 3종을 발견해 개미와 벌에 관련된 학술지인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중력 효과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영화 속에서 이렇게까지 사실적으로 묘사한 건 감독이 스탠리 쿠브릭이요, 공동원작자가 과학적 사실에 충실한 묘사를 중시하는 하드SF로유명한 아서 클라크이기 때문일 것이다. 보통은 중력을 세밀하게 묘사한 영화를 찾기 어렵다.어떻게 착륙하는 행성마다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취재 수첩나로호와의 대화윤수빈(서울 재현중2)발사체체계실은 나로호 개발의 각 팀들을 감독하고, 전체적인 설계 및 비행 후 분석과 확인을 담당하는 곳이다. 조상범 박사님의 설명 중, 나로과학위성의 궤도가 타원궤도인 이유에 대한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잘 알지 못했던 내용이었는데,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사랑이 선수들에게 절대 포기하지 않는 힘이 된답니다.- 홍명보 전 올림픽축구 대표팀 감독, 스페셜올림픽 홍보대사.이번 스페셜올림픽이 선수들만의 축제가 아닌, 모든 사람들의 축제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애독자 여러분! 겨울방학 때 가족과 함께 평창으로 와서 스페셜올림픽 ... ...
-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방법’에 대해 물었다. 박보영 누나는 친절하게 ‘배우들이 희망한 배역을 얻기보다는, 감독님이 전체를 보고 알맞은 배우를 캐스팅 하는 원리’라고 설명해 줬다. 이수근 아저씨는 생각보다 키가 작지 않았다. 다음 기회가 있으면 또 가고 싶다. 독자기자단 활동이 끝나는 게 더욱 아쉽게 느껴지는 ...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큐레이터, 도시계획가 등과 만나 대담을 한다. ‘이터널 선샤인’, ‘그린 호넷’의 영화감독 미셸 공드리도 있다.이야기가 중요해!핑커 교수의 대담에는 흥미로운 문구가 보인다. “무슨 이유로 인간 정신에 내재하는 공감 능력이 밖으로 확장됐을까요? 다른 사람의 입장으로 우리를 끌어다 놓는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