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암"(으)로 총 2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울릉도와 독도과학동아 l198608
- 울릉도에 급경사의 암벽이 많은 것은 조면암이 많기 때문이다. 점성도가 큰 조면암류가 용암으로 분출되면 쉽게 굳어지므로 급경사가 되는 것이다. 마치 밀가루반죽이 묽으면 널리 퍼지지만, 되면 그 반대인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나 오늘날의 울릉도 모습은 풍화작용 침식작용 등으로 많이 깎여 ... ...
- 킬리만자로(kilimanjaro)과학동아 l198607
- 등 특색있는 식물도 분포한다.거대한 풀 킬리만자로는 표고 3천5백m를 넘는 곳에서 용암대지(溶岩台地)가 얼굴을 보인다. 대지 언저리의 습지 가장자리나 고층습원에서는 킬리만자로의 거인 자이안트세네시오가 자란다. 극동에도 분포하여 습지를 좋아하는 것은 공통되지만 높이는 수m나 되어 표고 ... ...
- 살아 움직이는 지구과학동아 l198606
- 해양저로 나오는 사이에 굳어진 것이 있다. 또 그 위에는 해저에서 형성된 침상용 용암이 덮이고 최후로 그 위에 쌓인 고대의 바다 퇴적물이 있다. 1981년초에는 아라비아반도의 오만에서 오피오라이트가 발견되었다. 여기서는 대양저의 오피오라이트가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키프로스의 ... ...
- 인도과학동아 l198605
- 대륙이 남은 일부여서 오래된 지층으로 구성되어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북서부는 넓은 용암지대로 그 풍화토양은 면화재배에 적당하다.인도받도의 해안은 동쪽과 서쪽이 달라 서쪽연안은 넓은 평야가 없다. 다만 북쪽끝에 카티아와르 반도가 튀어나와 커치만과 캄바트만을 만들고 캄바트만 연안에 ...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과학동아 l198603
- 땅위로는 1시간에 1㎞의 속도로 용암이 흘러 내리면서 주변의 삼림을 모조리 태워버렸다. 용암이 흘러든 주변의 호수는 잠시 자욱하던 수증기가 걷히고 나자 호수흔적이 없어져 버렸다. 주변일대는 화산분출물로 덮여 황량해졌다. 이 분화활동은 그후 2차,3차로 계속되다가 76년 12월에야 끝났다 ...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과학동아 l198602
- 북서로 향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활화산은 이윽고 핫 스파트루트에서 이탈되어 용암공급이 끊기고 만다. 그때문에 활화산은 끝내는 하와이섬의 미우나케아, 후알라라이, 코하라, 마우이섬의 할레아카라, 오아후섬의 다이아몬드 헤드, 펀치볼처럼 사화산이 되어버린다. 남동에서 북서로 향해 ...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과학동아 l198602
- 무산까지 약 1백㎞ 간에는 전혀 곡류의 흔적이 없는 것을 보아 알 수 있다. 백두산용암 위에 생긴 강은 직류하고 있는 것이다. 곡류 감입곡류 직류 이런 것이 개마고원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1천~2천m의 고원에 1천m 내외의 산체를 만들고 넓게 그 치마자락을 씌워 산줄기들을 지배하듯이 군림한 ... ...
- 섬과학동아 l198602
- 대부분의 분화구는 약 75만년~2만5천년전 사이에, 그리고 해안저지대에 분포하는 용암터널들은 지형적 특징과 연대측정결과에 의하면 수만년 전에 각각 형성된 것임을 짐작케 한다.또한 제주도에서 서기 1002년, 1007년에 화산폭발이, 서기 1445년, 1570년에 큰 지진이 있었다는 동국여지승람(제38권)의 ... ...
- 산과학동아 l198602
- 울릉도 화산이나 한라산 등도 이와 같은 계통의 화산들이다. 백두화산을 구성하는 용암의 분출순서를 오랜 것으로부터 들어본다면 기반 현무암, 알카리 조면암, 알카리 유문암, 부석 및 화산니류(泥流) 등이다. 부석층 밑에서는 현생종으로 감정되는 나무가 목탄화한 것이 발견되는 사실이란든가 ... ...
- 동굴과학동아 l198602
- 가벼운 용암층에서 이와 같은 기다란 동굴이 이루어지는데, 만장굴 속에는 세계 제1의 용암석주(높이 7.6m)가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육지부에는 종유굴로 알려진 석회동굴이 많다. 우리나라 석회암지층의 대부분은 약 4억~5억년 전에 생성된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의 지층으로 돼있는데 이 지층 ... ...
이전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