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인성
동물적 행동
육욕주의
무자비
인간성
육욕
물소리
d라이브러리
"
수성
"(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딸자랑에 교만했던 카시오페이아 왕비
과학동아
l
199710
궁수자리 사이에서 천왕성과 해왕성도 볼 수 있다. 다만
수성
까지 볼 수 없는게 아쉽다.
수성
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이라 태양에 바싹 붙어다니므로 평소에도 잘 볼 수 없다.옛 기록에는 행성들이 모두 모이는 때에 덕있는 사람이 정권을 잡으면 나라가 부강하게 된다고 한다. 이번 달에 행성들이 ... ...
물이야기
과학동아
l
199709
자주 느낀다. 공기에 이어서 물과 바다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던 것들을 정리해보자.
수성
(水星)에는 물이 없다. 태양계를 이루는 천체 중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서만 풍성하게 쌓여있는 물을 볼 수 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를 공처럼 매끄럽게 만들면 이 세계는 약 2천 ... ...
지구 옆에 있던 행성 사라져
과학동아
l
199707
있긴 하다.티티우스-보데법칙에 따르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AU)이라고 할 때
수성
은 0.4, 금성은 0.7, 화성은 1.6. 소행성들은 2.8 거리에 있다. 이 공식 덕분에 천왕성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러나 티티우스-보데법칙이 왜 존재하는지를 물리적으로 해석한 예는 없다. 또 티티우스-보데법칙은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03
뿐이다. 그 외 ‘감
수성
이나 사고력 및 가치관’ 등에 관한 천성은 출생 당시 달이나
수성
및 금성이 통과하고 있던 별자리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재산이나 직업 같은 좀더 현실적인 문제들은 정확한 ‘출생시’에 의거하여 행성들이 각각 어느 방향에 있었는가를 알 때에만 유추할 수 있다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02
보여 주는 가장 흥미로운 세계가 타이탄이다. 토성의 거대한 위성인 타이탄은 실제로
수성
만큼 크기 때문에 ‘행성 대우’ 위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거대한 위성에서 복잡한 유기분자들의 합성을 목격할 수 있다.타이탄의 대기는 주성분인 질소분자와 함께 10% 미만의 메탄으로 이루어져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01
이각이 어느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이때 한계가 되는 각을 최대각이라 한다
수성
의 최대이각은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
과학동아
l
199701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이름을 고르고 제안하는 등의 사전작업을 수행할 각 행성(달,
수성
, 금성, 화성, 태양계 외부)별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1982년 그리스의 패트라 회의에서 미국의 해롤드 매서스키가 WGPSN의 새 의장으로 선출됐다. 1991년에는 노르웨이의 카레 액스네스가 그 역할을 이어받았다. 198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12
만들면 수용성이 되어 점성도가 아주 높아지기 때문에 용도가 넓다 직료물·
수성
도료·에멀션화제 외에도 식품에서 아이스크림·잼·마요네즈 등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 이용된다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강우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積雲)에 수반하여 발생한다 매초 10m 이상의 격심한 ... ...
꼬마자동차 소저너
과학동아
l
199611
일반적으로 2배체가 기준이 되므로 1배체를 반수체, 2배보다 많은 것을 배수체라 하고 배
수성
을 나타내는 종을 배수종이라고 한다열전자의 방출에서 양극전위를 높이면 전류가 완전히 포화되지 않고 조금씩 증가하는 현상 1915년 W숏키가 발견했다 금속을 가열했을 때 표면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10
사진을 공개했다. 가니메데는 태양계 위성 중 가장 크다. 화성 지름의 4분의 3에 해당하며
수성
을 능가할 정도다. 사진에는 소행성과 혜성의 무차별 폭격으로 곰보딱지가 된 표면과 우글쭈글한 습곡들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었다. 가니메데의 표면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거친 모습이었다.갈릴레오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