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 사고
과학동아
l
198912
마름모 또는 흰색의 마름모 도형이 나오게 되는 비율은?①1/3 ②1/7 ③1/215. 한 농부가 그의
밭
에 사는 쥐를 잡아 조사하였더니 그림과 같이 큰 쥐와 작은 쥐 그리고 흰 꼬리를 가진 쥐와 검은 꼬리를 가진 쥐가 있었다. 쥐의 크기와 꼬리의 색깔 사이에는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가?①관계 없다. ②관계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11
남북길이가 92m였고 동서길이는 62m였다 한다. 그러나 궁전은 없어지고 포도
밭
과 옥수수
밭
이 되어 있는 그 자리에서는 연꽃무늬와 짐승무늬가 있는 기와쪽이 가끔 발견될 뿐이다.이 일대에는 고구려 때의 것으로 보이는 옛무덤이 많다. 그 무덤들은 일제시대에 모두 도굴당해버리고 지금도 유일하게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11
탈출한 기생벌의 유충은 고치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하며 다음해 봄에 배추벌레가
밭
에서 서식할 경우 배추벌레고치벌도 성충으로 되어 고치에서 우화되는 것이다.이 외에도 많은 기생벌이 있는데 그중 몇가지 예를 든다면 솔나방의 알에 기생하는 송충알벌(Trichogramma dendrolimi) 나비목에 기생하는 ... ...
원예 꽃을 가꾸며 보낸 40년
과학동아
l
198911
신을 일이 별로 없었다. 그때만 하더라도 운동화는 귀했고 온실에서 물주고 거름주고
밭
에서 북주고 풀매고 하는 데는 고무신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것은 나만이 아니라 시험장 모든 직원이 그랬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나는 그 구두를 5년이나 신었다.학교에서 강의를 의뢰해 오기도 한다.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10
구성되어 있다. 현무암대지의 평균 두께는 약 2백~4백m이다. 이 현무암대지 위에는 옥수수
밭
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백두산의 입구이며, 자연보호구 관리국과 박물관이 있고 미인송(美人松)으로 이름난 해발 8백m의 이도백하를 떠나서, 또다시 남쪽으로 차를 몰면 차창옆으로는 소나무와 자작나무가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10
자식을 잉태하는 수고를 주었다"고 기술돼 있다. 또 동양에서는 옛날부터 여성을
밭
으로 비유, 씨를 뿌리는 남성에게 당연히 귀한 아기를 생산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여성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된 상태인 수정란이 잘 착상해서 자라도록 늘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배란된 난자가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02
돼지를 막대기로 몰고가고 있는 농민을 쉽게 볼 수 있다.동북부의 티사강은 과수원과
밭
그리고 언덕과 숲사이를 지나 흐르고 있다. 이 강의 모래색깔은 밝은 황금색이어서 '브론즈 미인'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붙어 있다. 이 티사강과 소련 국경사이에 있는 지대는 헝가리 특유의 서민적 분위기가 ... ...
유전공학의 배양기술이 감자농사를 돕는다
과학동아
l
198901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박사는 자신의 '허술한 농사솜씨'탓으로 돌렸다.인공씨감자
밭
에서 나온 감자를 먹어 본 사람은 기존 감자와 맛의 차이가 없다고 전한다. 또 영양실험결과 질의 차이도 없고 번식력도 떨어지지 않음이 밝혀졌다.경제적으로도 인공씨감자의 등장은 반가운 소식이다. 인공씨감자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11
것 같다.한편 우주스테이션에서의 채소재배는 이미 시험되어왔다. 사방 1m정도의 채마
밭
이 있고 우주비행사들은 각각 좋아하는 채소를 재배하여 식탁에 차린다. 또 채소 밖에도 밀 재배에도 성공했고 거기다 쌀이나 옥수수 재배도 계획하고 있다한다."물론 수확은 얼마안되는 것이기 때문에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8
간단하고 반찬에 양념을 많이 넣지 않는 게 특징. 논이 경지면적의 0.5%에 불과해
밭
에서는 산디(陸稻) 조 보리 콩 등의 잡곡에 의존한 점이 눈에 띄고 해산물을 이용한 죽이나 국, 회 등의 종류가 다양한 것도 자연조건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제주인의 생활사와 관련해 볼만한 전시물로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