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12
기념비적인 프로젝트다. 지금까지 연구해온 초전도 토카막 건설과 운영 기술, 플라스마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미래의 상용 핵융합로에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 ...
일반상대론 100주년 독자설문조사 “
물리학
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과학동아
l
201412
2015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이론’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12
없었대요).그럼 화성은 왜 질량이 지구의 10분의 1밖에 안 되냐고요? 미국 시카고대 지구
물리학
과 니콜라스 다우파스 교수팀의 연구 결과, 다른 행성들은 보통 성장하기까지 수천 만 년이 걸리는 데 비해 화성은 200~300만 년 만에 급격히 커진 뒤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피해 지금의 크기가 됐다고 해요.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12
공동 연구팀은 GPS 위성을 이용하면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물리학
’ 온라인판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질량이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공간이 휜다. 무거운 암흑물질 주변에서도 빛이 휘고 시간이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12
윤 교수가 “청색 LED는 노란 형광체를 발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물리학
상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하자 한 참가자는 “왜 적색 LED는 같은 원리로 백색 LED를 만들 수 없느냐”고 물었다. 올해 생리의학상 주제였던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차이를 설명하던 곽 교수에게 “철새는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12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위 양자의학이라는 것은 의학계에서도
물리학
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이비이론일 뿐입니다. 안타깝게도 오늘날 양자 혹은 퀀텀이라는 단어는 있어 보이기 위해서 흔히 가져다 쓰는 마케팅 용어가 됐습니다. 저희 동네에 있는 ‘양자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12
근사적으로라도 정해 놓는 것이 과학적 탐구의 중요한 부분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물리학
에서나 수학에서나 공리는 탐구과정의 유기적인 도구이기에 창조와 성숙, 변형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한다.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치버스의 조각에 나타나는 공리의 모습이 이런 현실을 그대로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12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
물리학
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2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사고실험’이 중요하다고 본다. 물리 현상을 탐구하는 게
물리학
이고 화학 현상을 탐구하는 게 화학인데, 수학은 현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로 사유하고 머리로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머리가 아니라 컴퓨터가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12
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
물리학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