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책의 향기]사생활 감시 vs 사회적 이익 빅데이터의 두 얼굴
동아일보
l
2016.04.16
정치적 시위자를 상대로 감시 활동을 벌여온 사실이 드러났다. 암호기법의 작동
원리
를 소개한 ‘응용암호학’ 등의 저서를 낸 미국의 보안 전문가인 저자는 인종, 종교, 계급, 정치적 신념 등에 따른 차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대량 감시 사회는 위험하다고 말한다. 정보 수집이 꼭 나쁜 면만 있는 ... ...
충격! 개구리 잡는 벌레 등장
2016.04.16
대개 벌레나 곤충을 잡아먹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의 법칙, 즉 먹이사슬의
원리
이죠. 하지만 이 먹이사슬을 거스르는 벌레가 있다면 믿을 수 있나요? 에포미스속 2종의 딱정벌레 유충의 위턱 모습 - 플로스원 제공 바로 에포미스(Epomis)속(屬)의 딱정벌레 2종으로, 이들은 애벌레일 ... ...
고온 초전도체 30년 미스터리 풀렸다
2016.04.14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체가 발견됐다. 그 후 학계에서는 ‘고온 초전도체’의 작동
원리
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진행됐는데 이번에 그 미스터리가 풀린 것이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고온 초전도체에 이를 정도로 임계온도가 내려가면 전자 2개가 쌍을 이뤄 마치 하나의 입자인 것처럼 움직일 ... ...
류인균 뇌융합과학원장 “두뇌는 캐도캐도 알 수 없는 미지의 탄광”
동아일보
l
2016.04.12
새를 모방해 만들지 않았지만 AI만큼은 인간 두뇌의
원리
를 흉내 낼 수밖에 없는데 그
원리
를 어느 정도라도 알아내는 데 수십 년에서 100년에 이르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는 것이다. 과학 기술은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정말로 그렇게 긴 시간이 필요할까. 류 원장은 “다른 동물과 ... ...
당신이 5분마다 한숨을 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04.11
쉰다. 숨을 길게 내쉬면서 폐의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인데 정확한 조절
원리
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그런데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마크 크라스노우 교수팀이 쥐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한숨을 조절하는 뇌 신경회로를 찾아냈다. 연구팀은 쥐의 뇌세포에서 1만9000개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 ...
KAIST에 부는 ‘명상’ 바람 “수업 듣고 인생관 변했다”
2016.04.10
1호이자 뇌 전문가인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등과 면담을 통해 명상의 뇌과학적
원리
도 검증받았다”면서 “그간 한국 양궁대표단 등 체육계, 항공조종사나 소방관 등 집중력이 중요한 사회 각계에 초청강연도 여러차례 다닌 바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명상의 장점으로 ‘긍정의 ... ...
‘황금(黃芩)’의 약리 효능 과학적 규명
2016.04.09
관여하는 ‘FNSⅡ-1’과 ‘FNSⅡ-2’ 유전자를 발견했다. 황금이 플라본을 합성하는
원리
를 이용하면 향후 플라본을 활용한 항암약물의 대량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캐시 교수는 “황금 뿌리는 이파리와 꽃잎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플라본 형성 과정을 보였다”며 “전통 ... ...
인공아가미 ‘트리톤’ 개발은 사기?...크라우드펀딩 위험 피하려면 이렇게!
2016.04.09
산소 분자보다는 큰 구멍으로 주변의 물에서 산소를 직접 걸러내 호흡할 수 있게 해 주는
원리
라고 하네요. 인공 아가미인 셈이죠. 트리톤그릴스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구요. 트리톤그릴스는 현재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인디고고’에서 이 제품에 대한 펀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명세를 꽤 ... ...
초미세 물방울 증발하는 0.3초 찰나의 순간 포착
2016.04.08
증발 속도가 현저히 느려졌을 것”이라며 “이런 현상을 이해하면 구름의 형성
원리
를 규명하거나 프린팅 기술에 적용되는 나노 입자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일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렸다.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
2016.04.05
단백질 간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나노이온소자 신호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원리
로 기존의 약물 스크리닝 기술인 ‘핵자기공명분광법(NMR)’과 비교해 약 4500배 이상 효율이 뛰어나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이 신약 개발에서 약물 및 표적 단백질의 시료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