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뉴스
"
나
"(으)로 총 4,81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과학이 ‘프랑켄슈타인’ 다시 만든다면… 꽃미남?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수 있었다. 연구 책임자인 윤명한 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심장과 신경을 자극하거
나
신호를 읽는 데 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1월 ‘사이언스’는 프랑켄슈타인 특집기사를 통해 21세기 과학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인체 대체 기술을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했다. △인공 심장 등 기계 ...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확인했다. 시모스 박사는 논문에서 “기존 발견된 화석보다 7300만년 먼저
나
타난 이궁류 파충류의 화석”이라며 “특히 비늘이 있는 인룡류 파충류와 다른 파충류의 진화 차이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나
도 깜짝” 벽타는 스파이더 개?
팝뉴스
l
2018.05.30
벌어지는 흥미로운 일상을 전해드립니다. 진지하고 무거운 일상에서 잠시 벗어
나
팝뉴스가 전하는 가벼운 소식을 사진과 함께 ‘가볍게’ 즐겨 보세요~ ... ...
패션이 과학과 만
나
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8.05.30
캡처 애쉬리시 샤르마 엔트러피 CTO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거의 97.1 %의 정확도를
나
타낸다고 합니다. 그는 “이 제품은 광학 분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와 도자기를 제외한 모든 것에 잘 적용된다”며 “핸드백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 전화기, 헤드폰, 신발, 심지어 원유(crude oil)까지도 ... ...
“유전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해야” 게놈학자 이민섭 이원다이애그노믹스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않고 소비자가 직접 게놈 해독 상품을 구입해 이용할 수 있는 제도인데, 현재는 피부 노화
나
체질량지수 등 직접적으로 질병과 관련이 없는 12개 항목에만 DTC가 허용돼 있다. 그는 “게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바뀌면 자연스럽게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한미 공동 연구진이 식물처럼 스스로 빛을 이용해 에너지를 내고 대사 활동을 하는 인공세포를 만들었다. 복잡한 세포의 작동을 가장 가 ... 활용할 수 있다. 신 교수는 “기능이 저하된 세포를 대체하거
나
나
아가 인공 장기
나
인공 조직을 구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2018.05.26
감추고 "어쩌다 보니 성폭력을 저지르게 되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또 얼마
나
해로운 걸까? 강간을 포르노화 하고 큰 고민 없이 강간 장면을 눈요깃거리로 사용하곤 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쉬이 전시하는 미디어는 또 어떤가? GIB 제공 남자는 울면 안 된다든가 남자는 공감 능력이 ... ...
[과학사진관] 추풍에 물든 단풍 봄꽃 도곤 더 좋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2017 아트 인 사이언스'란 이름으로 전시되었습니다. 정말 다를 것 같던 두 사람이 만
나
의외의 공통점을 발견하듯이, 이 사진들을 통해 어렵고 낯설 수 있는 과학과 일상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면 좋겠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리 눈을 감쪽같이 속이는 선물상자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5.22
만들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러
나
펜로즈 삼각형을 그릴 수는 있어요. 화가들은 원근법이
나
명암법을 이용하여 종이 위에 입체적인 느낌이 드는 그림을 그려요. 펜로즈 삼각형은 원근법을 사용해 우리 눈을 속인 경우에요. 우리가 만든 모형은 특별한 각도에서만 펜로즈 삼각형처럼 보여요.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음이 허(虛)하면 소유물에 집착한다
2018.05.22
버려야’겠다. 예전에 어떤 책인가 잡지에서 법정 스님의 방을 본 적이 있다. 몸 하
나
누일 작은 공간에는 서안(書案)과 책 몇 권이 있을 뿐 가구도 벽을 장식한 그림도 없었다. 창호로 들어오는 햇살로 환한 방을 보면서 스님의 책 제목이기도 한 ‘텅 빈 충만’이라는 문구가 떠올랐다. ※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