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회복 후 중증 억제하는 ‘기억T세포’ 장기간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의 기억 T세포 형성 및
기능
특성을 규명하고 코로나19 회복자들의 기억 T세포와의 비교를 통해 백신의 면역학적 효과를 파악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KAIST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 ...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변이 저항 '항원결정기' 다수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6
백신의 이상적인 표적이다. 최근의 코로나 변이 전파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항체가 제
기능
을 하려면 가능한 한 표적에 변이가 생기지 말아야 한다. 표적에 변이가 생긴다는 건 화살을 쏠 때 표적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과 비슷하다. 그런데 세포면역의 중심인 T세포의 잠정적 표적이 될 수 있는 ... ...
포도당을 연료로 생체 내에서 움직이는 ‘나노모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나노 구조를 도입했다. 나노입자 내부의 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다중 촉매
기능
을 지닌 나노모터를 용액 내에서 합성했다. 합성된 나노모터는 포도당을 연료로 사용해 브라운 운동을 극복하고 방향성 있는 움직임을 보였다. 효율적으로 세포에 흡수됐으며 약물 방출을 위한 전달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동물실험결과가 실렸다. 선천면역계의 구성원인 대식세포는 면역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
을 수행한다. 미국 웨일코넬의대 연구자들은 지방조직에 있는 대식세포가 지방세포의 지방 저장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고지방 먹이를 먹은 생쥐의 지방조직 대식세포는 PDGFcc를 ... ...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
과학동아
l
2021.07.06
최대 7°C 높이는 데 성공했다. 후지 교수는 “유연성, 생체적합성, 무선 가열 등의
기능
을 갖춘 이 장치는 침습 내시경 시술 등에서 열 치료의 가능성을 열었다”며 “장치의 개수와 크기를 조정해서 크기가 다른 병변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Q&A] 3분기 백신 접종 “고3 mRNA 백신 맞아도 부작용 없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스스로 호전된다. 다만 심장 근육의
기능
이 약해져서 심장
기능
의 저하가 있다면 심장
기능
을 보존하는 약제들이 있다. 전환효소 억제제라든가 베타 차단제와 같은 약제를 써서 면역반응을 줄여주는 것들을 통해 심근염을 예방할 수 있다. Q. 인터넷에서 백신 접종 전날 삼겹살을 먹으면 통증이 ... ...
미 보안연구자 "아이폰 WIFI 망가뜨리는 네트워크 또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5
(Secret Club)은 2주 전에 SSiD가 '%p%s%s%s%s%n'인 네트워크에 아이폰을 연결하면 iOS의 네트워킹
기능
에 오류를 일으켜 와이파이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애플은 아직 이런 오류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으며, 오류 발생 시 해결하려면 아이폰의 네트워크를 초기화해야 하는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성공했다고 밝혔다. 10초간 실험이었지만 추진력과 연료 주입, 냉각 시스템 등 주요
기능
이 모두 합격점을 받았다고 밝혔다. 항우연에 따르면 이 엔진은 3D 프린터로 제작된 단 4개로 부품을 조립해 만들었고 덕분에 비용도 일반적 로켓 엔진에 3분의 1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도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③대학원 평가를 시작하자
2021.07.02
역할이다. ○ 대학원생들도 대학원을 가지 않겠다는 사회 대학이 가진 연구
기능
의 수행 주체이자 연구인력의 대부분을 길러내는 곳이 대학원이다. 그런데 상당수 대학의 대학원들은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일반대학원 신입생 충원율은 2014년 89.2%에서 지속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암술머리에 붙어 수정할 확률이 매우 낮다. 위안룽핑은 1960년대에 웅성불임(꽃가루가 제
기능
을 못하는 상태) 야생벼를 발견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웅성불임 벼의 암술에 재배 품종의 꽃가루를 묻히면 1세대 잡종 씨앗(F1)이 열린다. 이렇게 얻은 잡종 볍씨가 발아해 자란 잡종벼(F1 개체)는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