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위한 '잃어버리지 않는 보석'이다. 아름다운 밤하늘을 수놓은 별에 매료돼 별들이 전하는
지식
과 언어를 이해하고 더 깊은 밤하늘을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망원경이 필요하다. 광학기기 판매점이나 백화점에 가면 여러가지 형태의 천체망원경이 있다. 이번호에는 천체망원경을 처음 구입하려는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쾌활하고 동시에 상냥한 벨 버넬은 퀘이커교 교육을 받아 자신의 종교적 신념과 과학적
지식
을 조화시킬 수 있는 사람이다. 아마도 이것이 그녀에게 힘을 주고 있을 것이다. 동시에 그녀는 종교적 합리성과 과학의 상식을 훌륭히 보여준다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생각하지 말자. 먼저 처음 망원경을 접한 사람들을 위해 망원경 구성에 대한 최소 한도의
지식
을 살펴보자.위 사진은 대표적 천체망원경들이다. 여기저기에 손잡이가 붙어 있어 상당히 복잡한 외관을 하고 있다. 각각의 기계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사용하면 천체를 볼 수 있는지 알지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 우주상수의 문제가 코페르니쿠스 이후에 이뤄온 우리의 자연 현상에 대한 성공적 물리
지식
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 믿고 있다. 오히려 진리는 눈앞에 존재하는데 우리의 능력이 못 미쳐 그를 이해치 못하고 있지않나 하는 자위감이 팽창우주 이론을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것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동원돼야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분자생물학 생화학 유전학 등 고도의 전문
지식
과 실험능력을 갖춰야 한다.바이오테크놀로지는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 줄 뿐 아니라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렇다면 바이오테크놀로지라는 큰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그 구체적인 효소의 구조와 화학반응 생산 응용에 대한
지식
의 결여로 화학자의 범주 밖에 놓여 있었다. 셋째로 생체의 효소는 현재 가동되고 있는 화학산업 조건에 매우 부적합하다. 효소는 생체내의 낮은 반응은도와 상압에서 물을 용매로 하여 작용하고 있다. 또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진출하기에는 너무 뜨겁다는 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긴 하지만 지구 이외의 행성에 대해
지식
을 늘려나간다는 것은 인류의 존재의미를 더욱 확대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5. 확산되는 제3세계의 핵문제인류의 최대 공적(公敵)으로 간주돼온 핵무기가 사회주의권 몰락의 여파로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케텔(KETEL)에 접속한 그는 통신을 통해 필요한 것을 대부분 얻을 수 있었다. PC에 관한
지식
, 새로운 정보, 교육용소프트웨어, 컴퓨터교육에 대한 문제점 등 통신을 하면서 그는 점차 '컴퓨터전문가'로 변신해간다. 이 무렵 그는 컴퓨터교사연구회(COCOS) 회원으로도 활동한다.컴퓨터교육에 관한 세미나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를 집중적으로 추적하는 회원도 있다.이러한 개별적인 노력들을 모아 좀더 체계적인
지식
으로 정리하며 되도록이면 많은 사람들에게 자생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10년을 맞은 자생식물연구회의 목표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시작하자. 우리가 오늘날 밤하늘을 보며 우주의 신비를 이야기하고 별들에 대한
지식
을 알 수 있는 것은 알려지지 않은 많은 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오늘날 우리가 천문학의 아버지로 부르고 있는 덴마크의 티코 브라에(Tycho Brahe, 1546~1601)는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 중의 한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