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뉴욕의 2배 수준문제는
우리나라
가 초미세먼지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11년과 2012년 전국 11개 측정소에서 초미세먼지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해 최근 발표했다. 초미세먼지 측정망이 본격적으로 가동된 ... ...
독자여러분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기사로 실린다. 해양탐사기사를 포트폴리오로도 활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상을 직접 체험하고 해양과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열대해양체험에 도전해보자 ... ...
[퍼즐탐정 썰렁홈즈]거울나라의 공주, 반대루 댈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들어갔다.미션1 1+2+3+4+5=2?“흑흑, 얼마 전 암흑나라의 ‘부를끄리 캄카마게’ 왕자가
우리나라
에 쳐들어 왔어요.문제를 풀지 못하면 저는 캄카마게 왕자에게 시집을 갈 수밖에 없어요.”불쌍한 공주를 위해서 썰렁홈즈가 도와주기로 했다.“첫 번째 문제는 간단한 더하기 문제래요. 그런데 저는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수학자들은 더욱 안전한 공개키 암호 방식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카이스트 수리과학부 고기형 교수와 서울대 수리과학부 천정희 교수 연구팀도 매듭이론을 이용한 새로운 공개키 암호체계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땋임 암호란?‘땋임’은 머리카락을 꼬아 놓은 모습을 ... ...
개나리 VS 영춘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헷갈려요~!2월이 되면서 아파트 화단에 피어난 노란 꽃이 있어요. 저는 개나리라고 생각했는데 아빠가 영춘화라고 하시네요. 같은 꽃이 아닌가 ... 여섯 장으로 갈라져 있고 끝도 둥글어요. 잎도 개나리와 달리 가장자리가 밋밋하지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남부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한다.현재 HUD는 일상 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해외 명차는 물론
우리나라
의 승용차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HUD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구글에서는 HUD 장치인 ‘구글 안경’을 개발해 지난 3월부터 체험단 신청을 받았다(위 오른쪽 사진). 구글 안경을 통해 실제 모습에 ... ...
[동아리탐방] 감출 수 없는 수학 내공!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일을 하는지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진로에 대한 궁금증까지 해소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를 대표하는 수학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이신 황준묵 교수님과 직접 대화를 나누다니 정말 영광이었습니다. 저는 수학을 좋아해서 앞으로 수학을 전공한 뒤 연구원이 되고 싶어요. 그런데 제게 재능이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박기주 ㈜매크로그래프 연구소장에게
우리나라
그래픽 기술 현황에 대해 물었다. Q.
우리나라
의 컴퓨터그래픽 기술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 100%를 넘어섰다. 하지만 CG는 특정 기술 하나보다는 대상 영화를 위해 기술과 인력이 얼마나 투입되느냐가 더 중요하다. 우리가 기술 수준은 높지만 제작 ...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에 가입하고도 지금까지 세계문화유산 복원원조를 하지 않던 유일한 나라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도 올해부터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을 중심으로 6년간 60억 원 예산을 투입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라오스의 홍낭시다 사원을 실물 복원한다. 11세기 크메르 왕조 시절 세워진 것으로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연간 근무일을 250일로 보면 매일 1.8시간을 초과 근무한다는 의미다. 두 조사를 연결하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휴식과 수면을 위해 써야 할 2시간 가량의 시간을 온전히 야근에양보하는 셈이다. 밤샘 공부하면 정말 시험 잘 볼까야근 때문에 적게 자면 신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수면 부족이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