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수학자들은 더욱 안전한 공개키 암호 방식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카이스트 수리과학부 고기형 교수와 서울대 수리과학부 천정희 교수 연구팀도 매듭이론을 이용한 새로운 공개키 암호체계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땋임 암호란?‘땋임’은 머리카락을 꼬아 놓은 모습을 ... ...
[career]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작은존재, 살인 진드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살인진드기는 쥐나 족제비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나 풀밭에서도 발견된다. 다행히 아직
우리나라
에서는 전염병의 원인균인 플레보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풀밭에 들어가거나 눕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올 봄 가족들과 나들이 나가서 살인진드기로 인해 전염병에 감염되지 ... ...
[퍼즐탐정 썰렁홈즈]거울나라의 공주, 반대루 댈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들어갔다.미션1 1+2+3+4+5=2?“흑흑, 얼마 전 암흑나라의 ‘부를끄리 캄카마게’ 왕자가
우리나라
에 쳐들어 왔어요.문제를 풀지 못하면 저는 캄카마게 왕자에게 시집을 갈 수밖에 없어요.”불쌍한 공주를 위해서 썰렁홈즈가 도와주기로 했다.“첫 번째 문제는 간단한 더하기 문제래요. 그런데 저는 ... ...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전라남도 고흥에 1943년에 떨어진 운석이다. 두원운석은 2.1㎏짜리 석질운석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
에 기록된 운석 중에서 가장 크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모두 일제강점기 때 기록된 것으로, 두원운석만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고, 나머지는 기록만 남아 있을 뿐 모두 일본에서 ... ...
[동아리탐방] 감출 수 없는 수학 내공!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일을 하는지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진로에 대한 궁금증까지 해소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를 대표하는 수학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이신 황준묵 교수님과 직접 대화를 나누다니 정말 영광이었습니다. 저는 수학을 좋아해서 앞으로 수학을 전공한 뒤 연구원이 되고 싶어요. 그런데 제게 재능이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시원하게 뻗어나오는 야구공이 머리 위로 지나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배우와 감독이 권위 있는 영화제에서 실력을 인정받으며 세계로 진출하는 것은 이미 흔한 일이 됐다. 그리고 그 뒤에는 더 나은 영상과 음향으로 작품을 빛내고, 관객들에게 작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 ...
독자여러분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기사로 실린다. 해양탐사기사를 포트폴리오로도 활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상을 직접 체험하고 해양과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열대해양체험에 도전해보자 ... ...
개나리 VS 영춘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헷갈려요~!2월이 되면서 아파트 화단에 피어난 노란 꽃이 있어요. 저는 개나리라고 생각했는데 아빠가 영춘화라고 하시네요. 같은 꽃이 아닌가 ... 여섯 장으로 갈라져 있고 끝도 둥글어요. 잎도 개나리와 달리 가장자리가 밋밋하지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남부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한다.현재 HUD는 일상 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해외 명차는 물론
우리나라
의 승용차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HUD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구글에서는 HUD 장치인 ‘구글 안경’을 개발해 지난 3월부터 체험단 신청을 받았다(위 오른쪽 사진). 구글 안경을 통해 실제 모습에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박기주 ㈜매크로그래프 연구소장에게
우리나라
그래픽 기술 현황에 대해 물었다. Q.
우리나라
의 컴퓨터그래픽 기술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 100%를 넘어섰다. 하지만 CG는 특정 기술 하나보다는 대상 영화를 위해 기술과 인력이 얼마나 투입되느냐가 더 중요하다. 우리가 기술 수준은 높지만 제작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