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확률과 통계의 함정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36배 높인다고 해석하면 안 된다. 위에서 언급한 상대위험도를 실제로 구하면 8배 정도
밖
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다룬 뉴스를 접할 때는 둘을 항상 구별해야 한다.남성차별이 여성차별로 둔갑?김 씨는 대학을 졸업하고 A회사에 사무직 입사 지원을 했지만 떨어지고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인정하지 않는 풍토가 과학계에서 없어지지 않는 한 과학계의 발전은 한계를 가질 수
밖
에 없다. ④항상 패러다임을 깨는 과학적 발전은 비주류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과학계에서의 이런 풍토로 나와 같은 피해를 입는 사람이 더 이상 없기를 바란다.- 김태훈(서울 마포고 3학년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기다리세요. 페로몬은 사람 이름이 아니에요. 페로몬은 생물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몸
밖
으로 내보내는 특별한 화학물질이에요.”닥터고글의 설명에 나드몰라 씨가 발끈한다.“엥? 금고 안에 무슨 생물이 있다고 그러시오? 우린 금고 안에 아무 것도 안 키웁니다!”“금고에 조그만 틈이 있는 걸 보니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느낄 수 있게 되었다.여기에는 안전장치의 발달도 한몫 했다. 기존 바이킹은 최대 90°까지
밖
에 움직이지 못했는데, 온몸을 감싸며 든든하게 잡아 주는 장치가 개발되자 최대 240°까지 기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됐다.짝짝짝! 스릴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끝없는 노력에 박수를 ! 흠~, 그런데 과연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있을 그날을 기다려보자.분야를 넘나 드는 융합 연구의 매력에 빠진 연구실이 있다. 2년
밖
에 안된 신생 연구실이지만 수준은 세계 최고다. 그들의 ‘꿈’과 ‘열정’이 있기에.고수의 비법 전수야구에서는 3할 대면 훌륭한 타자지만 연구에서는 1할만 돼도 정말 우수한 연구자다. 이를 위해 가장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연결되는 도킹연결부다. 도킹연결부에는 러시아의 시스템을 이용해 우주유영을 할 때 ISS
밖
으로 나가는 해치가 있는데, 여기에 난 창이 꽤 커서 햇빛이 잘 든다.양지바른 도킹연결부는 제올라이트 결정성장 실험과 금속-유기결정성장 실험을 진행하기에는 안성맞춤인 장소였다. 두 실험 모두 고온의 ... ...
화려한 회전예술, 비보잉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회전을 계속하기 위해서 강한 근력이 필요하다. 실에 매달려 원운동을 하는 구슬이
밖
으로 튕겨져 나가지 않으려면 원심력과 맞먹는 구심력이 필요한 것과 같은 원리. 다리가 V자를 그리며 몸이 앞쪽으로 나갔을 때는 어깨와 팔꿈치 사이에 있는 삼두근의 근력이 구심력 역할을 한다. 다리가 몸의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11가지 찾기케플러는 아르키메데스 타일링이 11가지뿐이란 사실을 어떻게 증명했을까. 그
밖
의 경우가 없다고 어떻게 장담할 수 있을까.평면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360°를 정다각형이 채울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해 보자. n각형의 내각(°)의 크기는 180(n-2)/n이다. 정3각형 즉 n=3일때 내각은 60°, 정 ... ...
악어는 알 속에 있을 때부터 대화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알과 엄마 악어에게 보내는 일종의 신호로 각각 ‘알을 깨고
밖
으로 나가자’와 ‘곧
밖
으로 나간다’라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악어가 이런 소리를 알 속에서부터 내는 이유에 대해서 “파충류 새끼는 부화하자마자 포식자에게 잘 잡혀먹기 때문에 동료나 엄마에게 자신을 잘 지켜달라고 ... ...
태양계는 찌그러진 공 모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실을 알아냈다.스톤 교수는 “태양풍의 영향이 미치는 태양권은 북반구에서는
밖
으로 불거지고 남쪽에서는 안쪽으로 찌그러진 공 모양”이라며 “태양계 바깥 남쪽에서 불어오는 성간 입자가 더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