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Y자형의 가늘고 긴 벼슬을 가졌다(90쪽 그림 오른쪽 맨 아래). 이외에도 크고 괴상한 모양의 벼슬을 가진 익룡은 많았다.익룡은 왜 이렇게 거추장스러울 정도로 거대한 벼슬을 머리에 가지게 됐을까. 과거에는 익룡이 거대한 벼슬을 마치 비행기의 방향키처럼 사용했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자와 서로 만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원자는 핵을 전자가 구름처럼 둘러싸고 있는 모양으로 볼 수 있는데(양자역학에 따르면 그렇다!), 이때 한 쪽 구름이 다른 쪽 구름을 만나면 같은 극성의 전기끼리 서로 밀어내는 전자기 상호작용(전자기력)에 의해서 서로 밀쳐내게 된다. 이런 현상은 원자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투명한 판자를 꺼내 던졌다. 판자는 수십 겹으로 접혔던 리본처럼 풀어지면서 계단모양이 되어 침대에 걸쳐졌다. 마법사와 길잡이는 그 계단을 타고 침대 위로 올라갔다.여왕은 거대했다. 이끼를 뒤집어 쓴 바위 같았다. 가볍게 풀린 채 침대에 놓여 있는 검은 손만 해도 길잡이의 키 절반은 되는 것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복면가왕 '롤라 자파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와주세요, 썰렁홈즈!”급히 방송국 대기실로 찾아간 썰렁홈즈 앞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가면들이 놓여 있었다. 그리고 칸막이 뒤에서 얼굴을 숨긴 채 출연자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썰렁홈즈가 온 걸 본 ‘롤라 자파저’가 칸막이 뒤에서 반갑게 인사를 하는데….“썰렁홈즈님 와 주셨군요! 방송에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은 바로 다리! 그래서 진동 로봇의 움직임에 가장 중요한 것도 다리랍니다. 다리의 모양과 길이, 각도에 따라 로봇의 속도와 움직이는 방향이 완전히 달라지지요.진동 로봇은 다리가 짧은 쪽으로 움직이게 돼요. 다리가 짧은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지기 때문이랍니다. 진동 로봇을 앞으로 ...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박스카운팅★ 그림의 차원을 분석하는 고전적인 기법으로 그림의 일부를 사각형(상자모양)으로 연쇄적으로 확대해 계산하는 방법.]진품 혹은 위조품? 여전히 뜨거운 논란누구나 그릴 수 있을 것 같아 보이는 그림이 엄청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서일까. 폴락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폴락의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하지만 우주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알고 있지는 않다. 아골 교수는 우주가 가질 수 있는 모양의 경우의 수를 제시한 것이다.30여 년간 해결되지 않았던 3차원 다양체의 성질이 모두 증명된 이후 이제 위상수학의 증명은 모두 해결됐다고 하는 수학자도 있다. 하지만 아골 교수는 수상 소감에서 더 높은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어진을 만날 수 있습니다. 경기전의 넓이가 달라진 건 우리 조상의 터를 뚝 잘라 원래 모양을 찾아 볼 수 없게 만든 일제의 만행 때문입니다. 일제시대인 1919년, 일본이 경기전의 서쪽 땅과 부속 건물을 철거하고 일본인 소학교를 세우면서 원래 넓이의 절반 정도가 잘려 나갔습니다. 일본인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상한 끌개(아래).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이전 경로와는 절대 만나지 않으면서 나비 모양 영역을 벗어나지는 않는다.Fractal그 많은 치즈는 다 어디서 왔을까?다음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극한에 관한 문제다.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인 정사각형 안에 선을 그어서 가로 세로 길이가 인 9개의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단은 현재 가로세로 8cm, 길이 30cm인 직육면체 모양의 요오드화세슘(CsI) 결정 12개로 만든 검출기를 이용해 암흑물질을 탐색하고 있다. 검출기는 1년 365일 작동하면서 측정된 신호를 대전 IBS 본원으로 전송하고, 대전에서는 암흑물질이 남긴 신호가 없는지를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