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여럿이 공익을 위해 힘을 보탤 때처럼, 내가 도와준 상대가 장차 내 도움을 갚으리라고 기대할 수 없을 때조차 인간은 종종 착하게 행동한다. 보답을 바라지 않는 일방적인 선행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어느 여름날, 한국전력으로부터 이런 편지를 받았다고 하자. “귀하의 도움이 세상을 바꿀 수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레고 블록의 수가 400~500개만 되도 3~4시간을 꼬박 앉아 만들어야 작품을 완성할 수 있어요. 그런데 3000개가 넘는 블록을 단 10분 만에 조립했다면 믿어지나요? 2015년 1월 28일, 미국 윌리엄스타운 공연예술극장 62센터에서 윌리엄대학교 대학생 59명과 윌리엄스타운초등학교 학생 10명이 레고 스타워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직관력과 지성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에 비견될정도의 인물이다.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자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1950~1970년대였다. 이 시기에 현대수학의 중요한 분야를 완전히 새로 정립했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선생님, 저희 풀었어요!” 학생 3명이 동시에 손을 번쩍 들며 신이 난 목소리로 말했다. 수학 문제를 푼 게 아니었다. 11월 11일, 울산 공업탑청소년문화의집에서 있었던 ‘놀이로 만나는 수학’ 행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꼬인팔 풀기’ 놀이에서 미션에 성공한 것이다. 김문수 울산 동평중학교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마고?”“죄가 없다고?”“무슨 소리지?”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웅성거렸다.“죄송합니다. 저는 그동안 여러분을 속여 왔습니다. 지금부터 모두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마고, 도대체 무슨 소리야?”연구원 한 명이 외쳤다.“야, 제하림! 너 마고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어, 저, 전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올해 9월, 영국 남부에 자리 잡은 브라이튼에서는 과학축제 ‘브리티시 사이언스페스티벌(British Science Festival)’이 열렸다. 브리티시 사이언스 페스티벌은 영국과학진흥회(BSA·British Science Association) 주관으로 1831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영국 최고의 대중 과학 행사다. 올해 축제의 스포트라이트는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이들이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이룬 학문적 업적을 깎아 내린다. 그러나 ‘복제자’와 ‘운반자’ 개념을 구분해 자연 선택의 단위가 결국은 유전자임을 밝혔다는 점, 그리고 곳곳에서 쏟아지던 신선한 발상들을 유전자 선택론이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통합했다는 점에서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주 동안 실험 잘 진행하셨나요? 실험을 잘 하는 것 보다는 재밌게 했는지가 더 중요해요.” 아직 더위가 가시기 전인 9월 중순,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캠퍼스 내에 있는 하나과학관. 이 곳에서는 뇌과학 동아리 ‘뉴런(NEW LEARN)’의 정기 세션이 박지윤 씨(심리학과 3학년)의 사회로 진행 중이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학원 버스를 타는 사람은 매일 바뀐다. 누구는 학원을 그만 두고, 다른 누구는 새로 학원에 들어오며, 또 어떤 친구는 탑승 장소를 바꾼다. 이처럼 변화무쌍한 일정을 일일이 챙겨야 하는 학원은 수시로 실수를 저지르기 십상이다. 애꿎은 학생들은 버스에서 시간을 버릴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을 ...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음색은 음의 높낮이가 같아도 사람이나 악기에 따라 달리 들리게 하는 소리의 특성이다. 그리고 이런 현상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