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름도 조금 알려져 있었죠(천 교수는 세균분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자다.
국제
세균분류학회지의 부편집인을 했고 뛰어난 논문도 여럿 발표했다). 이 분야에 그냥 있으면 안락할 거라는 사실을 물론 알았어요. 하지만 이제는 연구 자체보다, 연구가 널리 활용되게 하는 데 공헌해야겠다는 생각이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항공분야는 물론 우주 분야 연구 개발에도 관여하면서
국제
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이 단장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하던 해에 휴가를 내고 부인과 자녀를 데리고 한국을 다녀갔다. 한국인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에 처음 가는 아들은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움직일 수 없다무중력이 얼마나 무서운지는 스톤 박사와 코왈스키가
국제
우주정거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납니다. 베테랑 우주비행사인 코왈스키는 제트팩에 남아 있는 마지막 연료를 사용해 자신과 스톤박사를 우주정거장 방향으로 밀어냅니다. 딱 한 번만 밀어낼 수 있다면 충분합니다.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일치해야 학문이나 연구에서 리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조선해양공학은
국제
경제와 밀접하기 때문에 세계 경제를 바라볼 수 있는 소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지훈 군(단양 가곡중 3학년)은 “강의를 들으니 조선해양공학이 무엇인지 알게 됐고 흥미를 더 많이 갖게 됐다”고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국제
독성학회 회장으로 3년의 임기를 맡게 된다. 이사회 회원부터 시작해 10년 이상
국제
학회 일을 하며 회장으로 추대를 받았다. 스스로 영어에 자신이 없어 망설였지만 자신이 그만 두면 아시아 지역에 회장 자리가 돌아오기까지 20년이 더 걸린다는 생각에 고민 끝에 맡게 됐다. 한국인은 물론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2004년,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로봇을 처음으로 만들어 한국은 로봇 후진국이라는
국제
적 편견을 깬 오준호 교수. 한국을 일약 ‘로봇 선진국’ 반열에 올려 놓은 그는 어떻게 과학자의 길을 걸어 왔을까.“재미없으면 하지 않았다”반에서 58등 하던 학생이 6개월 만에 1~2등어린 시절, 집에 있는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제치고 세계 최강대국이 될 것 같았던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의 덫’에 갇힌 이유가
국제
감각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자원도, 인구도 부족한 조그마한 도시 국가 싱가포르가 잘 사는 나라가 된 것도 오래 전부터 여러 인종들이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는 풍토가 조성돼 있었기 때문이다.”중국, 인도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길은 좌우로도 위아래로도 구불구불하기만 했다. 덜컹거리는 차 안으로 급박한
국제
정세를 알리는 단어들이 전파에 실려 날아들었다. “유엔 특사 면담도 거절당했대요.” 그렇게 평화가 저물어가고 있었다.“이번 마을에서도 연료 구하기가 쉽지 않겠는데요.” 통역이 운전기사의 말을 전했다.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바이오디젤을 포함해 다양한 연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문화가 정책되어 나갈 것”며 “
국제
기구 사람들은 그 때를 빠르면 2020년, 늦으면 2050년 정도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갑 가깝지만 매일 산책하며 건강관리바이오에탄올 분야 의미있는 기술 발표하고 싶은게 목표이 센터장은 1957년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두 번째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다(첫번째는 동남아시아 바다). 박 센터장은 “요즘은
국제
조약 때문에 해외 생물자원을 함부로 한국에 가져올 수가 없는데 축은 오래 전부터 협력을 맺어와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곳에서 연구센터가 이뤄낸 대표적인 성과는 역시 200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