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4,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당뇨병 합병증 ‘망막병증’ 막을 수 있다...예방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3명을 비교한 결과, 당뇨성 망막병증이 심하지 않은 사람의 망막과 유리체에는 RBP3(레티놀
결합
단백질3)라는 단백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눈에서 분비되는 이 단백질은 비타민A를 재생시켜 간상세포와 추상세포 등 시세포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료에서 추출한 RBP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트랜스포사제 서브유니트’로 구성되어있다. 서브유니트는 단백질의 가장 적은 공유
결합
단위를, 트랜스포사제는유전체 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유전자를 뜻한다. 연구팀은 CAST를 가지고 대장균 유전체에 대한 인비보 연구를 진행한 결과, CAST가 대장균의 유전체에 매우 효율적으로 DNA를 ... ...
미래 전자기기 편의성 더할 '부드러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고분자 절연체 등을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CNT)와 그래핀 등 탄소소재와 금속소재를
결합
해 개발한 유연하면서도 투명한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는 2018년 기술이전을 통해 양산에 들어갔다. 수치에서 연구단이 보유한 소재 기술의 세계 속 위치가 드러난다. 연구단의 유기반도체는 반도체의 성능을 ... ...
얼음 속 화학반응이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위해서는 철 이온이 필요한데, 자연계에 존재하는 철 성분은 대부분 산소와
결합
된 산화철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산화철 형태는 미세조류 생산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한다. 남극 봄철 로스해에서 나타나는 미세조류의 모습이다. NASA 제공 그런데 연구팀은 이번에 극지방의 얼음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위키피디아/강석기 제공 플라스틱은 고분자 가닥이 서로 엉켜 있는 상태다. 서로 화학
결합
으로 묶여 있지 않아도 단단한 고체를 유지하는 건 긴 고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Van der Waals force)이라는 전기적인 인력이 고분자 전체에 걸쳐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 ...
최고과학기술人 장석복 교수"랭킹 집착 말고 남이 안하는 새 영역 개척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의약품, 합성화학, 소재 등 폭넓게 활용된다. 장 교수는 "저반응성 유기분자의 탄소-수소
결합
활성화 과정에 대한 기초원리를 규명해 탄화수소를 반응시킬 수 있는 촉매반응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한국 기초과학은 이제 막 시작 단계"라면서 "최근 5~10년새 분명 발전하고 ...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에 장석복 KAIST 교수·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탄소-수소
결합
활성화 촉매반응을 설명했다. 장 교수는 저반응성 유기분자의 탄소-수소
결합
활성화 과정에 대한 기초원리를 규명해 탄화수소를 반응시킬 수 있는 촉매반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장 교수는 “이번 수상에 매우 송구스럽고 감사할 뿐”이라며 “지금까지처럼 앞으로도 남은 ... ...
한화정밀기계, 인도 '위프로'와 공정자동화 협동로봇 협업
연합뉴스
l
2019.07.02
두 회사는 한화정밀기계의 협동로봇 제조·개발 기반과 위프로가 보유한 네트워크를
결합
해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특히 한화정밀기계는 위프로와 공동으로 현지 판매망을 구축하는 동시에 위프로가 추진하는 여러 제조업체의 공정 자동화 작업에 자체 협동로봇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 ...
섬유 실을 발열소재로 만드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큰 면적으로 제작 가능한 소자를 만들었다. 다양한 섬유 위에 바느질이나 직조 방식으로
결합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시했다. 구종민 센터장은 “맥신을 고분자 섬유 위에 코팅해 차세대 웨어러블 발열 소자를 개발했다”며 “향후 전기 에너지 공급 방안과 발열 효율 등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 ...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때부터 이런 접근법을 생각해 연구단을 구성했다”이라며 “관찰과 시뮬레이션을 모두
결합
해 연구의 효율과 질을 높인 새로운 패러다임은 지금까지 소재 연구에서 없었다”고 말했다. 연구단의 새로운 접근 방식은 소재연구와 별개로 독자적으로도 인정받았다.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