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대원들에게 귀한 선물이 되었답니다.캠프 후에도 지사탐의 활동은 활발히 진행돼요. 9월에는 꿀벌, 10월에는 귀화식물 현장교육이 차례차례 이어질 예정이에요. 앞으로도 지사탐 대원들의 활동을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얻게 됐죠. 주로 아프리카, 동남아, 하와이 등 30~35℃ 사이의 온도와 적은 강수량, pH9~10,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춘 곳에서 잘 자라요.스피루리나의 가장 큰 특징은 세균이면서도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까지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는 거예요. 덕분에 ‘슈퍼푸드’라는 별명까지 얻었지요.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전충훈 대표Q 코끼리 똥 종이, 직접 만드시나요?저는 스리랑카와 일본 기업과 협력해 2009년 우리나라에 최초로 코끼리 똥 종이를 소개했어요. 스리랑카에서 코끼리 똥 및 종이 를 만들면, 일본이 코끼리 똥 종이 제품을 디자인 해요. 한국은 스리랑카와 일본, 한국 이 3국을 잘 협력시켜 코끼리 똥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豪雨注意報 호우주의보 (왕성할 호, 비 우, 집중할 주, 뜻 의, 알릴 보)‘호(豪)’는 기운이나 세력이 왕성함을 나타내는 한자예요. 용기가 뛰어난 사람을 뜻하는 ‘호걸’이 ... 만큼 빠른 속도로 부는 바람과 세차게 내리는 비를 동반한답니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7~9월에 태풍이 찾아와요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거예요.뉴호라이즌호는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된 이후 9년 6개월이나 걸려 명왕성 궤도에 도착할 수 있었어요. 7월 8일부터 본격적으로 명왕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해, 7월 14일에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지요. 그리고 그 뒤엔 다시 멀어지고 있답니다. ...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축축 처지는 여름에 활력이 솟아나는 음식을 추천할게! 바로 새콤달콤 맛있는 여름 대표 과일, 포도와 복숭아야. 마침 충북 옥천군에서 포도·복숭아 축제가 열린다고 하니 맛있는 축제 현장으로 달려가 볼까?기운이 뿅~ 활력이 쓩쓩! 생겨나는 포도랑 복숭아 먹으러 옥천으로 고고~!”포도와 복숭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이 드론은 현재의 드론과 마찬가지로 무선 전파를 이용해 조종하는 방식이었지요.이후 1939년에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처음으로 무선조종 드론이 대량생산됐어요. ‘라디오플래인 OQ’라는 이름의 이 드론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무려 1만 5000대 이상이 만들어졌지요. 이 드론은 시속 137km까지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2002년 사스 바이러스도 홍콩에서만 유행하다가 끝났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해요. 19세기 말, 유럽에서 사람의 살이 썩어 검게 되는 흑사병이 유행했는데, 이 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은 중국에서 발병한 뒤 유럽까지 오는 데 3년이 넘게 걸렸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사스 바이러스는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세계 테러리즘 보고서에 따르면, 테러 희생자 수는 15년 전에 비해 10배나 증가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이대로라면 21세기는 테러의 시대가 될지도 모른다. 특히 테러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개인과 공동체의 정신을 서서히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옴부즈퍼슨 제도를 도입한 대학이 있다. 포스텍(2012년 7월 도입)과 KAIST(2013년 9월 도입) 두 군데다.옴부즈퍼슨을 우리나라에도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건 최근이다. 황은성 서울시립대 교수는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교수 입장에서는,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