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얼마 못 가 말라 죽는다. 양서류인 개구리 가운데서도 거품에다 알을 낳는 종류가 있다.
주로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 사는 종들인데, 퉁가라 개구리(tungara frog)도 그 가운데 하나다. 이 녀석은 물가에 풍성한 거품둥지를 만든 뒤 그 안에 알을 낳는다. 잘 꺼지지 않는 거품은 그 속의 알이 부화할 때까지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하천과 호수에서 최고의 폭군은 가물치다. 다 자라면 몸길이가 1m 정도로 성장하는데,
주로
큰 하천의 하류와 대형 호수, 저수지에 살면서 개구리나 수서곤충,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가물치는 암컷과 수컷이 함께 수초를 모아 수면에 둥지를 만들고 알을 낳는다. 아가미호흡과 공기호흡을 동시에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땀을 많이 흘린다면 다한증을 의심해야 한다. 땀의 양은 뇌의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이
주로
조절한다.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할 경우 많은 땀을 흘리는데, 이를 다한증이라고 한다. 을지병원 피부과 박건 교수는 “일반적으로 특정 신체부위에서 5분 동안 땀을 100mg 이상 흘릴 경우 다한증으로 볼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말했다.비둘기 배설물이라고 해서 다 이 균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오래된 배설물에서
주로
발견된다. 지 교수는 “배설물 성분 중 질소화합물이 크립토코커스균을 잘 자라게 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비둘기가 평화의 상징에서 멀어진 지는 사실 한참 됐다. ‘돼둘기’나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자기소개서만큼이나 교사의 추천서를 꼼꼼히 살핀다”며 “교사의 추천서에서는
주로
학생이 학교에서 한 일과 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에서 수행한 내역을 확인한다”고 말했다.③ 자기주도적인 학습계획서를 세워라.포스텍이 바라는 인재상은 장차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수 있다. 즉 은하가 우주 공간에 골고루 퍼져 있는 게 아니라 거품 막에 해당하는 부분에
주로
있고 거품 안은 텅 비어 있다.철 망 을 비 눗 물 에 담 글 때그러면 비누거품에서는 120°와 109.5° 이외의 다른 각도는 볼 수 없을까. 120°와 109.5°는 각각 정삼각형과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생기는 각도이므로, ... ...
여름밤 당신의 뇌파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국제학술지 ‘뉴런’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암기과목처럼 머리를 써서 얻는 지식은
주로
렘수면에서, 길 찾기나 자전거 타기처럼 몸으로 익히는 학습능력은 깊은 잠인 3, 4단계에서 각각 강화된다고 보고 있다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시기를 알아내는 결정적인 증거는 꽃가루 화석 말고도 또 있다. 바로 식물규소체다.
주로
벼과(科)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식물규소체는 물에 녹아 있던 규산이 잎에 있는 세포벽에 부채 모양의 결정으로 축적된 덩어리다. 식물규소체와 꽃가루 화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논농사는 대략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나정민 지음) 초원에 목이 짧은 기린과 목이 긴 기린이 함께 살고 있다. 키가 큰 나무들이
주로
자라고 있는 이 초원에서 목이 긴 기린들은 나무의 잎사귀를 손쉽게 뜯어먹을 수 있으나 목이 짧은 기린들은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결국 목이 짧은 기린들은 굶어 죽어 대가 끊기고 목이 긴 기린들만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않고 다른 장기로도 퍼져나간다는 점. 왜 그럴까?“원래 AI 바이러스는 철새의 소화기에
주로
살고 있습니다. 철새가 이동하면서 흘린 배설물을 통해 가금류가 감염되는 이유죠.”김우주 교수는 그 비밀이 AI 바이러스의 표면단백질 헤마글루티닌(HA)에 있다고 설명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