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보다 1300배 큰 불타는 눈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까만 우주에서 ‘불타는 눈사람’이 발견됐어요! 이 별은 태양보다도 지름이 1300배, 질량이 39배나 더 큰데다가 두 별이 함께 하는 쌍둥이별이랍니다. 큰 별과 작은 별이 얼마나 가까운지 마치 불타는 눈사람처럼 보여요. 작은 별이 큰 별의 주위를 1300일에 걸쳐 1바퀴씩 돌고 있지요.프랑스 니스에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전의 상태인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취해 활용하는 방법이 논의되기도 했답니다. 앞으로 우주기술을 비롯한 과학이 발전하면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취할 수 있는 날이 오겠죠?아쉽게도 모두 운석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어요. 진짜 운석이었다면 특종을 잡는 거였는데…. 하지만 진주에 운석이 떨어진 ...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무사히 착륙하는 게 목표다. NASA는 이번 비행이 성공하면 향후 화성 등 행성표면에 유인우주선이나 탐사로봇 등 무거운 화물을 지금보다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름이 4.6m에 이르는 LDSD는 외계인이 타고 온 비행접시처럼 생겼다. 화성대기권에 진입하면 옆면에 부착된 ... ...
- 힉스메커니즘 제안자 구랄닉 교수 별세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우주의 입자가 질량을 갖게 된 물리학적 과정인 ‘힉스 메커니즘’. 힉스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안한 6명의 이론물리학자 중 한 명이면서, 간발의 차이로 노벨상 수상자에서는 제외된 비운의 과학자 제랄드 구랄닉 미국 브라운대 교수(사진 왼쪽)가 지난 4월 타계했다고 ‘네이처’가 6월 4일 밝혔다.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최고의 관심사가 됐다”고 돌아봤다. 어느 정도 회복되고 나서 과학동아에 ‘어린왕자의 우주일기’라는 인기 코너를 1년 동안 연재했다. 이번 책에도 그때 글이 들어가 있다. 내친 김에 병에 걸리고 난 뒤 가장 달라진 게 뭐냐고 물었다.“내가 사는 목적이 뭘까, 내가 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게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다.그 후 1년 동안의 화성 생활은 빠르게 지나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메탄/산소엔진으로 작동하는 5인승 차량으로 1만km가 넘는 탐사를 했고, 비행선과 무인기로 지형도 촬영했다. 매일 반복되는 일에 조금은 지치기도 하고 먼지폭풍이 불어올 때는 ... ...
- “위성은 태양계 역사의 산 증인”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심 박사는 지구와는 다른 형태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행성과 위성에 대한 우주 이야기는 수준이 무척 높았지만, 참석자는 중학생부터 대학생, 성인까지 다양했다. 토론 전문은 다음 링크에서(goo.gl/ZsN0wG) 다운로드 받아볼 수 있다. 다음 과학동아카페는 아래 참조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는 먼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나왔다. 달은 지구에서와 같은 풍화를 겪지 않지만, 대신 우주선이나 미세한 유성체와 만나 표토의 미세한 가루(먼지)가 생긴다. 이 먼지가 이동을 해와서 스월이 생겼다는 개릭-베델 교수팀의 가설도 있다.김성수 경희대 교수와 심채경 연구원은 달의 편광을 관측해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문장의 느낌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번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평행우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엘러건트 유니버스’ 등을 번역한 박병철 박사가 과학전문 번역가로 유명하다. 과학책 매니아 사이에서는 ‘번역이 박병철이라면 믿고 본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김 부장은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성공하면 가장 단순한 형태로 빛과 빛을 충돌 시켜서 물질을 만든 사건이 될 것이다.우주가 처음 시작할 때는 빛과 물질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했다. 이제 우리는 빛과 물질 사이의 경계를 조심스럽게 탐색 하고 있다. 빛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존재면서, 여전히 가장 신비로운 존재고 세상의 비밀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