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영화 ‘스타워즈’에는 거대한 우주기지 ‘데쓰 스타’가 여러 가닥의 녹색 레이저빔을 모아 일격에 행성을 파괴하는 장면이 나온다. 오늘날 지구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 핵융합 실험에 성공하면 자기장을 이용한 케이스타(KSTAR)와 함께 한국에서 두 개의 인공태양이 불을 밝힐 것이다 ... ...
- [5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환자의 장기를 이식 받는 경우도 위험할 수 있다.잠복기는 1개월에서 1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물린 부위가 머리에 가까울수록 빨리 발병한다. 발열, 두통, 무기력 등의 초기 증상은 다른 질병과 구분하기가 힘들다. 그 후에는 음식이나 물을 보기만 해도 목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면서 물을 ...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모양이 나타난다.그러나 한 번 생긴 지근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지방을 연소하는 양도 많아 운동을 잠깐 쉰다 하더라도 살이 덜 찌고 근육을 다시 만들기 쉽다. 임종필 교수는 “최소 3개월 이상은 운동에 전념해야 복근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복근을 덮고 있는 지방도 걷어내야 한다. ...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특징이 가져다 주는 이점은 명백하다. 태블릿PC, 스마트폰, 울트라북, 전자책 리더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소모하는 전력이 줄어들며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이다. 소모하는 전력이 줄어들면 더 오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력을 적게 소모하면 열도 줄어든다. 보통 노트북이 쓰는 전력은 30W다. 3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제주도에서 미국 로스엔젤레스(LA)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가능할까. 길이만 1만km를 훌쩍 넘는다. 평균 수심 4000m에 달하는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 ... 해양 미션 임파서블Part1. 해저도시 건축학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두 그룹으로 나눠 한 집단에만 유산균을 넣은 수프를 6주간 먹였다. 그리고 십자(+)모양의 미로에 쥐를 풀어 놓고 행동을 관찰했다. 실험 결과, 유산균을 먹은 쥐가 무균쥐에 비해 미로에서 넓고 트인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았다. 존 박사는 “폐쇄적이고 어두운 곳을 찾는 쥐의 습성상 실험결과는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하지만 아직까지 끈이론에서 계산한 값은 대부분 음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수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파트 3 참조). 우주상수가 음수인 우주는 팽창하지 못하고 쪼그라들어 오늘날 존재한다 해도 다중우주를 구성할 수 없다. / 하나하나가 안정한 상태의 우주가 될 수 있다. 단, 음수 ...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않고 배출할 수 있는 양이다. 이 팀장은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물을 뿜을 수도 있어 다양한 화재 진압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이것만으로도 부족했다. 숭례문의 경우 물의 침투를 막는 강회문의 두께는 12~15cm 정도. 현재 개발한 노즐의 길이는 약 2cm로 구멍을 낸다 하더라도 내부로 ...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가 연간 흡수, 저장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ha당 약 7t. 맹그로브가 소나무보다 5배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지구 온난화를 막는 대안이 될 수 있다.바나콘 섬을 떠나면서 작은 섬마을 사람들을 위해 맹그로브 숲을 심고 가꾸는 일을 우리나라 ...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장민 유진로봇 부장은 “1분에 816회나 회전하는 브러시가 양 옆에서 먼지를 모으면 진공흡입으로 먼지를 말끔히 제거한다”고 말했다.로봇청소기의 두 번째 핵심 기술은 ‘길 찾기’ 능력이다. 청소를 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을 구별할 수 있어야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이동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