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세상
에서 가장 작은 작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수련’을 그리고 있다. 물론 돋보기안경을 쓰고 0000호 짜리 붓을 들고 말이다!이외에도
세상
에는 지우개만 한 어항부터 손톱만 한 바이올린까지, 엄청 작고 기발한 작품들이 사람들을 즐겁게 하고 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작품들이 살아 있는 물고기를 키우거나 연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있다. 이 교수는 “내가 한국에서 대학 때문에 불이익을 본 적은 단 한 번도 없지만
세상
에는 불이익을 당할 수 있는 상황도 있다고 학생들에게 솔직하게 말한다”고 털어놨다.“하지만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능력은 대학과는 아무 상관이 없어요. 원래 하던 연구, 남들 따라가는 연구는 모범생이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호기심을 갖고 상상하는 자만이 미래를 즐길 수 있다”는 생각에 ‘재미있고 똑똑한
세상
을 만드는 미래 아이디어 80’ 이라는 책을 냈다.아주 오래 전 SF영화나 소설에 나왔던 뚱딴지같은 첨단기기들이 비슷한 형태로 현재에 실현되는 사례가 많다. 그것처럼 저자는 지금은 비록 바보 같고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적지 않다.그들은 남들이 자기를 싫어하는 것을 병적으로 참지 못한다. 남의 평가가 이
세상
에서 가장 중요하다. 덕분에 그들은 자신의 시간, 돈, 심지어 직업까지 희생하면서 남의 평가에 의존해서 살아간다. 정신과에서는 그들을 외적 자아가 두드러지는 타입으로 분류한다. 자기 행동의 옳고 ... ...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 연구의 의미는 아직 잘 모른다. 다만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온라인 SNS로 서로 연결되는
세상
에서 인간이 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신경생리학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로열 소사이어티 B라는 학술지에서 소개됐다. 웰컴재단의 지원을 받은 런던대(UCL)의 ... ...
세상
에서 가장 작은 전기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눈에도 보이지 않는 전기자동차가 탄생했다.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티보 쿠더낙 교수팀이 분자 한 개로 만든 전기자동차다. 자동차의 크기는 1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머리 카락 굵기의 6만 분의 1 수준이다.쿠더낙 교수팀이 만든 분자자동차도 실제 자동차처럼 네 개의 바퀴가 달려있다. 탄소,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덩어리가 아니라 아주 작은 진동하는 끈이라고 생각하는 물리학의 끈이론에서는 우리
세상
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4차원 정도가 아니라 11차원이 필요하다.심지어 모든 것을 설명해내려는 초끈이론은 26차원을 요구한다. 하룻밤의 기적을 일으키는 산타는 이렇게 다차원의 초공간을 이용하는 건지도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후각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그래서일까. 영화 속 인류는 후각을 잃어버렸건만
세상
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다시 돌아간다. 너무나 평화롭게. 따뜻한 차가 풍기는 향과 함께 과거 함께 했던 사람들을 추억할 수는 없지만 그 정도의 기억 손실은 견딜만한 모양이다. 하지만 감각 상실 바이러스는 곧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
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 이 코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및 개발자를 꿈꾸는 중고생 정보영재들에게 IT 전문가가 들려주는 유익한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
세상
을 왜 바꾸세요?’라고 묻는다면 더 ... 것은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여기저기 e메일을 보내고 전화해서 물어보자. 여러분은
세상
을 바꿀 수 있다 ... ...
세상
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오~, 놀라워라!’오늘도 세계의 오지를 누비며 지구에 사는 생물들을 가장 먼저 만나는 과학자들! 국제보존협회의 프로젝트 연구팀도 지난 20년 동안 오지를 탐험하며 새로운 동물 1300여 종을 발견했어요. 그 중에서도 요상한 모습과 기이한 행동으로 연구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 희귀 동물들이 있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