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있다.잉어는 50년 이상 생존이 가능하며 최대성장어는 20㎏이 넘는 것도 있다. 암놈 한
마리
의 산란수는 약 50~60만개이다. 사료를 주어 양식하는데 수온이 낮으면 성장이 안좋으므로 온수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섭씨 20~30도의 온도가 가장 적절하다. 보통 관개용 유지에서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볼수는 없게 되었다. 이런것도 역시 자연의 섭리일까. 도깨비불가사리는 5월경에 한
마리
가 30만~40만개의 알을 낳는다. 그런데 이 알이 산호초의 식량이기도 한것이다. 또 징그러운 도깨비불가사리에게는 소라고동이라는 천적이 있다. 그래서 산호초가 보호되기도 한다. 이것은 자연계의 먹이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레벨의 마이크로파(2.45기가 헤르츠)를 쪼이면서 기른 쥐에서 악성종양이 1백
마리
중 16
마리
에 발생했는데 쪼이지않은 대조 무리에서는 불과 4
마리
뿐이었다는 결과였다. 혈중에서 뇌에로의 분자 회수가 마이크로파 노출에 의해 현저히 증대한다는 실험보고도 있다. 동물에는 대뇌의 기능을 정상으로 ... ...
영국 테임즈강에 연어 키우기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연어가 방류될예정. '테임즈 연어협회'라는 단체는 민간의 후원을 받아 1년에 1천여
마리
의 연어를 테임즈강에 방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테임즈강은 그동안 정화노력에 힘입어 현재 수중산소량은 만조시 60%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연어가 사는데 충분한 양이다. 그러나 연어가 테임즈강을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가 어느 여름날 마루에 앉아 추녀 끝의 거미줄을 보면서 담뱃대를 마당에 털었다. 그때 한
마리
의 벌이 거미줄에 걸리는 모습이 화타의 눈에 띄었다. 거미가 밑에서 다가가자 벌이 침을 한방 쏘는 것이었다. 침을 맞고 떨어진 거미는 한참 몸을 움츠리고 있더니 마당에 떨어져 아직도 타고 있는 담배 ... ...
AIDS백신, 연내 인체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상당히 많다. 가장 좋은 실험대상은 침팬지이지만 이용가능한 침팬지는 미국에도 2백50
마리
정도밖에 안돼 함부로 사용할 수가 없다. 인체 실험이 논의 되자 프랑스의 AIDS연구학자 '다니엘 자귀리'박사는 자기몸에 백신을 넣어 실험대상에 제공,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참으로 골치아픈 AIDS ... ...
황새의 3분의 2가 전기쇼크로 횡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아끼지 않는다. 유럽에는 20세기초에 4천4백여
마리
의 황새가 있었다고하나 현재는 6백40여
마리
밖에 안된다. 유럽의 황새는 남아프리카까지 날아가 월동하는등 1만여km 나 여행하는 장거리 철새로 유명하다. 그런데 황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파괴되고 오염되지 않은 먹이가 부족한판에 날로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표고 1천m 이상의 고준지대에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후의 남획으로 격감되어 수십
마리
가 생존하고 있을 뿐이다. 산양은 대개 절벽으로 둘러싸인 산림지대에 서식한다. 가파른 바위의 구멍에다 보금자리를 만들어 적을 피하는 한편 생고무처럼 질기고 밀착력이 뛰어난 발바닥을 이용하여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하면 2천5백50
마리
, 잠자리 20
마리
가 포식한다고 하면 5만 1천
마리
, 1개월이면 1백 53만
마리
를 포식한다고 보고한 곤충사육자도 있다. 한편 교미비상을 비롯한 교미의 습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암수의 구별을 들어보자. 잠자리의 체형은 암수의 차가 거의 없고 체색이나 반문(斑紋)등에 의해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코끼리가 판것이라며 놀라운 추측을 지금 검증 중이다. 동굴의 용적은 약 5천m³며 10
마리
정도의 코끼리가 1주간에 파내는 바위는 배설물에 섞인 암석의 양으로 추정하여 최저 1리터정도다. 이만한 동굴이 완성되기까지는 10만년정도 걸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에르곤산의 역사가 약1천5백만년,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