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코로나19 사망자 입원 후 사망까지 불과 '5일'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페이 주 중국 의학과학원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을 국제
학술
지 ‘랜싯’ 온라인판에 11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중국 진인탄병원과 우한시 폐병원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코로나19 환자 191명를 분석했다. 그 결과 증상 발생 후 퇴원까지 걸린 ... ...
연구자의, 연구자에 의한, 연구자를 위한 부실학회 판정 플랫폼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한국 연구자들 또한 많은 피해를 봤다”며 “각 분야 연구자들이 국내외 약탈
학술
지와
학술
행사로 인한 피해 없이 안심하고 연구성과물을 출판할 수 있는 연구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역시 태양광발전과는 비교가 안 된다. 적외선 광자가 반도체 전자 이동시켜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달 20일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의 과학자들이 기발한 장치를 고안해 폐열의 적외선 복사로 전기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어려운 물리이론이라 이해하는 데는 ... ...
코로나19 완치 후 재감염 가능성 낮다…하지만 면역력 유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일부는 면역력을 잃기도 했다. 중국 베이징미생물학및유행병연구소 연구팀은 2011년 국제
학술
지 ‘면역학회지’에 사스에 감염된 환자 23명을 6년간 추적조사했다. 그 결과 14명만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가 사스 바이러스를 기억하고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방 센터장은 ... ...
연구 홍보하고 컴퓨터언어 배우라…코로나 사태로 재택하는 과학자를 위한 10가지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늘면서 실험실에서 수행해야 할 각종 연구계획이 미뤄지는 상황이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한 전문가를 인용해 이런 시기일수록 과학자들이 이 시기를 연구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장기 계획을 세우는 기회로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사이언스는 16일 과학자들을 위한 강연과 세미나를 ... ...
WHO가 꼽은 유망 코로나19 치료약 4종…전 세계 환자와 의사 연대가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함께 실험한다. WHO는 이 네가지 약물을 가장 유망한 코로나19 치료제로 보고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달 20일 WHO가 이들 코로나19 치료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유망한 4개 치료제를 활용한 범 국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고 22일(현지시간) 전했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솔리대리티(Solidarity ... ...
'약물 표적'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 효소 3D 정밀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4~5마이크로몰(μM)로 나타났다.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팀이 지난달 국제
학술
지 ‘셀 리서치’에 보고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 후보들로 꼽히는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의 EC₅₀는 0.77μM, 항말라리아제인 클로로퀸은 1.13μM로 측정됐다. 하지만 두 약물은 부작용이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0일 홀로 떠다니는 해빙 조각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과거 남극 대륙을 구성하고 있었을 해빙은 이제 기후변화로 인해 떨어져 나가 녹아 없어질 때를 기다리는 신세가 됐다. 사이언스는 기후변화로 인한 남극 대륙의 급격한 변화를 조망한 세 개의 리뷰 논문과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18일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열대 지방의 새가 강렬한 눈빛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이번 표지의 주제는 중앙아메리카의 새 다양성에 농업 형태가 미치는 영향이다. 그레첸 데일리 미국 스탠퍼드대 보전생물센터 교수팀은 코스타리카의 네 ... ...
"칼레트라 효과 불분명, 클로로킨은 효과"…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안개속'
동아사이언스
l
2020.03.20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행 물질, 위 사진)가 임상시험에서 큰 효과가 없었다고 의학
학술
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18일자에 발표했다. 칼레트라는 중국에서 발발 초기부터 치료제로 써 왔고, 미국이나 한국에서도 사용돼 왔다. 바이러스 증식에 필요한 효소를 억제하는 원리이며,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