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불완전해지고 결국은 실명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런데 시각훈련을 하면 이런 진행을
억제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맹점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는 병적 암점을 지닌 환자들을 위한 치료법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지각훈련을 통해 병에서 ... ...
간암 악화시키는 유전자 10개 찾았다
2015.08.31
나머지 9개 유전자가 간암세포를 악성화시키는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와 엔유피알1을
억제
하는 약물 후보를 찾아내는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간장학(Hepatology)’ 7월 14일자에 게재됐다.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을 입으면서 간암을 악화시키는 ... ...
KAIST 임춘택 교수팀, IEEE 최우수 논문상 첫 수상
2015.08.25
Vehicles)’으로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상용화에 걸림돌이었던 자장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임 교수팀은 KAIST가 개발한 ‘온라인 무선전기차(OLEV)’ 개발에 참여했다. 이번 최우수 논문상은 지난해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전자학회지에 출판된 579편의 논문 중 심사를 거쳐 ... ...
천연물서 피부 노화 막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
2015.08.25
효과를 살폈다. 그 결과 인터루킨-1b와 인터루킨-8 유전자의 발현이 각각 96%, 60%로
억제
되며 염증이 줄어든 사실을 확인했다. 또 이 소재는 피부 주름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나이가 들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가 분비되며 피부에 주름이 생긴다. 개발된 소재를 투여한 피부세포는 ... ...
백혈병 재발방지 방법, 韓日 공동 연구진이 찾았다
2015.08.25
사실을 알아내 백혈병을 일으킨 실험용 쥐에 글리벡과 동시에 주사하자 백혈병 재발을
억제
해 생존율이 최대 60%이상 높아졌다. 흔히 쓰는 항생제를 추가 처방하는 것만으로도 백혈병 재발을 막을 수 있게 된 셈이다. 차병원그룹은 조만간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 ...
연세大, 한국인 사망 원인 3위 간암 핵심 발병 원리 밝혀
2015.08.25
단백질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두 단백질이 결합하면서 Myc 단백질 분해가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적인 간 조직에서는 간암 환자의 조직보다 발현되는 Myc 단백질 양이 적었다. 발암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고 쌓이면 정상세포가 점차 암세포로 변형된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X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과정에 관여하는 효모의 유전자 발현을 늘이고 FPP를 다른 물질로 바꾸는 유전자를
억제
해 효모가 FPP를 최대한 많이 만들어내게 했다. 여기까지는 대사공학이지만 합성생물학이라고 부르기에는 약하다. 두 번째 단계는 FPP를 아모르파디엔(amorphadiene)이라는 분자로 바꾸는 효소인 ADS라는 개똥쑥의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연구원은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각종 영양성분을 합성하지만, GLK2 단백질이
억제
되면 광합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며 “당과 영양성분의 함량이 적어지면 토마토의 풍미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은? 빨갛게 익은 겉모습에만 현혹돼지 말아야 겠다.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자정능력으로 알려진 세포 청소는 마이크로RNA, siRNA 등 ‘청소부’가 유전자 발현을
억제
시켜 불필요한 단백질을 없애는 과정이다. 만약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세포가 암세포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포청소에 관여하는 RNA 간섭(RNAi) 현상을 이용한 유전자 조절기술이 암과 ... ...
차세대 항암제용 항체, 어떻게 암 없애는지 확인
2015.08.18
저해한다. 반면 GITR 자극 항체는 암의 성장을 촉진하는 ‘면역조절 T세포’의 기능은
억제
했다. GITR 자극 항체의 항암 효과는 인터루킨-9를 매개로 T세포의 기능을 조절해 생긴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낸 것이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인터루킨-9의 역할을 재조명했다”며 “향후 이를 이용한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