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8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트 푸드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6.03
빛이 산란돼 희게 보이는) 가루다. 비타민C 분자는 자외선 영역인 파장 245~265nm(나노
미터
, 1nm는 10억분의 1m)의 빛을 흡수하므로 이 영역을 보는 생물체가 있다면 비타민C의 존재여부가 색으로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블루베리에 많이 들어있다는 안토시아닌은 더 넓게 보면 플라보노이드의 ... ...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인공 두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탄소나노튜브로 인공 시냅스를 만드는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지름이 1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무작위로 배열해 얇은 층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노 크기의 티타늄과 금을 곳곳에 코팅한 뒤 수소이온이 함유된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얹어 소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 ...
석탄과 천연가스로 석유를 만드는 '신 연금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금속결정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효율이 크게 떨어졌다는데 주목했다. 이에 촉매를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한 결과 생산성을 기존대비 50% 이상 끌어 올리는데 성공했다. 이 촉매는 구조 자체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반응기’ 역할을 해 나노채널 반응기라고도 불리는데, ... ...
원주율 π를 알면 간단해요!
동아일보
l
2013.05.23
144m를 갈 때마다 100원씩 올라간단다.” “그럼 아빠, 택시가 움직인 거리를 택시
미터
가 어떻게 알아요?” “택시가 움직인 거리는 바퀴가 회전하는 수를 측정해 계산한단다. 타이어의 지름에 원주율(π=3.14)을 곱하면 타이어가 한 바퀴를 돌 때 택시가 움직이는 거리가 나온단다.” “원주율이요? ... ...
뇌 지도 구축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상태를 디지털 지도로 한눈에 볼 수 있다. - KIST 제공 2011년 말 김 박사팀은 2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간격의 살아 있는 시냅스를 광학현미경으로 찾아내는 mGRASP 기술을 개발했다. mGRASP는 녹색형광물질을 두 개의 분자로 쪼개 형광을 띠지 않도록 만든 뒤, 뇌 신경세포가 특정 시냅스에 정확히 ... ...
세포에 DNA 전달하는 '금나노선 세포 주사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기존의 세포주사기는 굵기가 마이크로(㎛, 1백만분의 1m)사이즈였기 때문에 수십 마이크로
미터
에 이르는 세포에 찔렀을 때 세포를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금 나노선 주사기는 세포 크기의 100분의 1수준으로 가늘게 만들어 기존 세포주사기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했다는데 ... ...
태양보다 100경 배 밝은 빛으로 1000조분의 1초 분자 움직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않는 작은 물체를 보기 위해 현미경을 개발했다. 그러나 가시광선은 파장이 수백 nm(나노
미터
·1nm=10억분의 1m)여서 이보다 작은 물체는 볼 수 없다. 파장이 짧은 빛을 이용할수록 작은 물체 내부까지 속속 들여다 볼 수 있다. “포항가속기연구소에는 이미 3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있어요. 물질의 ... ...
원자핵이 서양배처럼 생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중화항체 VRC01을 생성하는 B세포와 결합해 항체의 활동을 돕도록 설계됐다. 직경 30nm(나노
미터
, 1nm=10억분의 1m) 크기의 바이러스 유사 나노입자다. 연구팀은 ‘로제타(Rosetta)’라 불리는 단백질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시뮬레이션을 해 HIV단백질 표면에 항체가 단단히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면역원 ... ...
숨쉬기 겁나는 한국… 서울 ‘죽음의 초미세먼지’ 뉴욕의 2배
동아일보
l
2013.05.10
저감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PM2.5 :: 지름 2.5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초미세먼지. 흔히 미세먼지라 부르는 PM10(10μm 이하)보다 훨씬 작다. 참고로 머리카락 한 올의 굵기는 50∼70μm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 [채널A 영상]환절기 아침운동은 ... ...
'자연'을 흉내냈더니 이런 기술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연꽃잎은 표면에 마이크로
미터
(㎛, 100만 분의 1
미터
) 단위의 미세한 돌기가 빼곡히 돋아있어서 물방울이 떨어져도 동그란 방울모양이 그대로 유지된 채 흘러내린다. 이 원리를 응용하면 비에 젖지 않는 옷이나 세차가 필요없는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