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난해 수상의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제45회 전국 교육자료전에서 ‘아두이노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폰무선 과학 실험’으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이다.SW는 새로운 기회현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흥미로우면서도 진로와 깊은 관련이 있어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내놨다. 꿈인기계공학과 관련이 있을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 정보를 자연보호 단체와 공유했다.실제로 미국의 ‘자연보호협회’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버드리턴’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빅데이터로 예측한 새들의 이동 경로 중, 특히 가뭄이 심한 캘리포니아 지역에 새를 위한 물을 남겨놓도록 쌀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 역경매를 실시했다. 협회에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래에는 1인 가족이나 독거노인과 교감하고, 또 자폐증 환자를 보살피는 데 로봇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다운 표정은 이런 교감에 필수다.어쩌면 로봇이 요리 주문을 받거나, 뉴스를 진행하거나, 심지어 물건 가격을 흥정해서 파는 상황이 머지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때는 로봇에게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목표 유전자의 원하는 부위에 달라붙어서 DNA중합효소가 유전자를 복제하게 만들어 준다. 그런데 유전자 맞춤형 프라이머를 제작하는 게 너무 어려웠다. 3만~ 4만 개인 ... ...
- [수학뉴스] 완벽한 주차장을 만드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때 차량의 수를 데이터로 정리했습니다. 이것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정규분포를 활용해 공간이 부족할 확률을 구했습니다. 표준편차란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통계 개념입니다.표준편차가 작으면 매일 가장 붐빌 때 차량의 수가 평균과 비슷하고, 크면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EE(Explain Everything)'라는 앱으로 함수쏭 영상을 찍기도 했다. 1학년 때 배운 함수쏭을 3학년이 돼서도 기억하는 아이들에 힘입어 율동과 함께 하는 함수쏭 2(이차함수편)를 개발했다. 비주얼 ...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DNA가 길잡이 역할을 한다.둘의 가장 큰 차이는 ‘PAM’ 서열의 존재 유무다. 크리스퍼를 활용해 유전자를 자르기 위해서는 목표로 하는 21개 유전자의 뒷부분에 반드시 PAM 서열이 존재해야 한다. PAM 서열이 없으면 Cas 단백질이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를 수 있는 부위가 제한되기도 한다. NgAgo는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환 속도가 빠르다. 또 인공광합성은 탄소가 1개 또는 2개인 탄소화합물을 생성해 활용범위가 넓다. 일산화탄소, 에탄올, 개미산과 같이 탄소 수가 적은 생성물을 이용해 다시 다양한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문가들은 아직 상용화까지는 최소 2, 30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모아 팀별로 하나씩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아이디어를 짜냈고, 그걸 서로에게 발표했다.한국디지털미디어고 염승우, 유주원, 김준호 학생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했다. 이들은 최근 ‘포켓몬 고’ 게임을 하기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중소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KISTI에서 기술기회발굴(TOD) 시스템을 개발해 중소기업이 활용하게끔 운영하는데, 이 교수가 3년째 참여하고 있다.또 수학, 사회학 같은 다른 학문과의 교류도 빅데이터 연구센터를 통해 이뤄진다. 이 교수는 “경영공학은 어떤 분야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연구 성격이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