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글의 왕자, ‘정그리 타자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통과해서 타자나 집까지 찾아왔다. 그런데 이게 웬일? 타자나의 집은 최첨단 시설을 갖춘 연구소처럼 보였다.“이곳은 세계 정글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요.밀렵꾼들도 위성으로 감시하고, 멸종동물 복원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죠.”그래, 시대는 변하는 거야. 이제 정글 걱정은 끝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힌 업적으로 200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아다 요나트 박사는 노벨상 또한 하나의 상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한다.“노벨상 발표를 처음 들었을 때 정말 흥분되고 기뻤죠. 하지만 제가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만큼은 아니었어요.”노벨상 수상자와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시 부장이 됐다. 그리고 어느새 국과수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됐고, 국과수의 꿈이었던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승격이 되면서 첫 원장이 됐다. “우리들은 그걸 소원성취라고 불러요. 국과수 50년 역사의 소원이었거든요. 제가 첫 원장인데 사실 제 남편도 소장을 지냈어요. 그래도 가끔 집에서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눈을 돌렸습니다. 융합이 중요하다는 것은 7~8년 전부터 주장했습니다. 자동차애프터마켓 연구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정통 국내파 교수라고 기죽지 말라 틈새를 찾는 자가 승자다 우리나라는 해외유학파가 아니면 연구자나 교수로 자리잡기 힘든 게 현실이다. 동국대에서 학사,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다 듣고 논문만 남겨둔 상태였다. 갑자기 지도교수가 다른데 연구소로 갔다. 다시 다른 교수 밑에서 논문을 쓰려면 2년을 더 해야 했다. 이 관장은 박사 수료 상태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책을 썼다. ‘해리 포터’라는 책이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친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 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도 속속 나오고 있다. 2004년 미국 스미스-케틀웰 눈연구소 연구팀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모나리자’에 약간 변형을 가한 뒤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표정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했다. 모나리자를 고른 건 기쁨도 슬픔도 아닌 모호한 표정을 잘 보여주는 ...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길어서 대기를 통과할 때 덜 산란되기 때문에 프로필렌을 관찰하기 좋았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 스콧 에딩턴 연구원은 “타이탄의 대기에는 수많은 화합물이 섞여있다.”며 “앞으로 더 깊숙이 숨어있는 새로운 화합물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카시니호는 또 올해 4월 토성 북극의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여전히 UC버클리 교수인데 비해, 로드먼은 스탠포드대, 프린스턴대, 슬로언-케터링 연구소, 콜럼비아대를 거쳐 지금은 예일대 교수로 꽤 여러 곳을 옮겨다녔다.마지막 수상자인 토마스 쥐트호프 교수는 독일에서 태어나 1982년 괴팅겐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미국 텍사스대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암소가 들판에 누웠다가 일어나는 행동을 관찰한 영국 스코틀랜드 농업대 부설 동물보건연구소의 버트 톨캄프 박사팀이 그렇다.연구팀은 16일 간 암소 73마리가 총 5만 9308번에 걸쳐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행동을 관찰했다. 할 일 없고 심심해서 이런 연구를 한 것은 아니다. 암소의 건강 상태를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곳을 가다 보면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 그 중에서도 뉴미디어통신연구소는 어찌 보면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고 있는 휴대전화와 통신 단말기, 와이파이(Wi-Fi) 등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연구 리더를 양성하고 있는 최성현 교수를 만났다.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