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소리가 전기적
신호
로 바뀐다. 이
신호
는 두개골에 이식된 수신기로 중계된다. 수신기의
신호
는 전선을 따라서 와우각의 오목한 부분에 박혀있는 미세전극으로 보내진다. 미세전극이 전기적 자극을 청신경으로 전달하면 뇌가 소리를 듣게 된다. 말하자면 인공와우각은 유모세포의 에너지 ... ...
PART.2 멀티미디어 첨단 기술에 관심집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향상이 불가피하다. 그것은 실시간으로 전송돼야 하는 엄청난 양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때문이다. 순조로운 화상 회의를 위해서는 초당 1백만바이트의 정보가 전송돼야 하는데, 일반적인 PC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는 초당 10만내지 16만바이트 정도에 불과하다. 이런 네트워크에 멀티미디어 정보들이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형광분석기를 통과한다. 기름의 농도는 기록지와 계기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로 변환돼 컴퓨터에 계속 저장됐다.사고지점에서 남해대교로 갈수록 수중의 기름 농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남해대교에서부터 외해쪽의 여수항으로 갈수록 기름의 농도는 감소해 거의 0으로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누에나방이나 집시나방의 수컷은 멀리 떨어져 있는 암컷을 향해 모여드는데, 이 때의
신호
자극은 암컷의 외분비선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미량으로 같은 종의 다른 개체의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분비 물질을 페로몬이라고 하며, 비교적 작은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절대온도 4도)로 냉각돼 있다. 이유는 온도가 올라가면 열진동에서 발생하는 잡
신호
가 끼어들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루이지애나 주립대학의 해밀턴 교수는 초전도현상을 이용해 금속봉을 공중에 띄운 초전도 중력파 안테나 장치를 개발했으며, 스탠퍼드 대학의 페어뱅크 교수 팀도 감도를 향상시킨 ... ...
세계 최대 어레이 전파 망원경 운영 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떠 있는 같은 대상을 8천㎞를 건너서 볼 수 있다는 의미. 이 망원경에 의해 기록되는 전파
신호
는 천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소코로의 대형 컴퓨터로 보내진다.이 VLBA 전파 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이 퀘이사의 핵에서 발산되는 매우 빠른 물질을 관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낙오자없이 목적지에서 집합하게 한 비결이 밝혀진 것. 아마도 그들이 아주 멀리까지
신호
를 전달하는 초저주파 음파를 지니고 있지 않았다면 한데 모이는 일이 불가능했을 것이다.1985년 미국 코넬대학의 케이티 패인은 아프리카산 코끼리의 초저주파 음파를 검출해 냈다. 그는 우연히 동물원에서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TV처럼 꺼져있으나 리모콘
신호
등을 받을 수 있는 오프상태에서는 수평 및 수직동기
신호
를 모두 차단해준다. 그러나 화면은 꺼져 있더라도 컴퓨터의 키보드를 치면 화면이 금세 되살아나야 한다.에너지스타 로고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EPA에 가입해야 한다. 컴퓨터나 모니터를 생산하는 업체는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둘러싼 6가지 화제를 점검해본다.다른 종류의 유전자 도입에 성공, 유전자 치료에 청
신호
, 유전자는 이기적이다 등… 유전자를 둘러싼 화제는 풍부하다. 93년 노벨 의학생리학상과 화학상을 유전공학 관련 연구가 석권하는 등 유전공학은 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분자생물학과 미생물학 생화학 ... ...
의학계에 논란 불러일으킨 생체공학 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둘째는 외과적으로 이식시킨 리시버인데, 이는이들
신호
를 뇌가 읽어내도록 전기적
신호
로 변환한다.깁슨박사는 지금까지 1백50여명의 어린이들에게 생체공학 귀를 삽입했는데 이들의 99%는 태어나면서부터 귀머거리였다. 논란의 이유는 바로 이들이 '태어나면서부터' 듣지 못한다는 데 있다. 즉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