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작동시키는 방식을 활용한다. 하지만 연구팀은 하드웨어 자체가 뇌처럼 작동하게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고안했다.최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신경세포를 모방한 소자를 만들었다. 탄소나노튜브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수준인데 강도는 강철보다 세다. 게다가 구리보다 전기를 잘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기존보다 월등히 높인
새로운
바이오센서 플랫폼이 개발됐다.바이오센서의 성능은 센서의 분해능과, 진단하고자 하는 분자의 이동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나노소재로 분해능을 높여왔지만, 분자의 확산 속도가 느려 센서의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필요한 문장을 뽑아 신뢰도를 숫 자로 매기게 했습니다. 이를 인공지능에 학습시킨 결과,
새로운
발언을 입력했을 때 약 79%의 정확도로 사실인 문장과 팩트 체크가 필요한 문장을 구분했습니다.숫자만 출력했던 클레임버스터는 최근 좀 더 정교해졌 습니다.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미국 텍사스대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퀸즐랜드대 화학및분자생물학과 로셸 수 연구원팀은 광합성의 기원을 추정해낼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놨다. 광합성을 하는 다양한 남세균의 유전자를 읽은 뒤 대조하면서 광합성과 관계된 유전자의 계보를 그리는 것이다. 왜 진작 이 방법을 쓰지 않았을까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말처럼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측면을 주목한 가설도 있다. 영국 뉴캐슬대 토마스 커크우드 교수는 1977년 ‘네이처’에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1). ‘생존번식교환설(일회용 체세포 가설)’이다. 이 학설의 핵심은 유기체는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생식과 생존을 맞교환한다는데에 있다. 이 가설을 지지하는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종의 복어 중에서도 이런 형상을 만드는 것은 이 종이 유일하다네요. 이 복어는 2014년에
새로운
종으로 등록됐습니다(Torquigener albomaculosus ).아프리카에서 미국을 거쳐 일본까지 지구를 한 바퀴 돌았네요. 모른 채 지나쳤다면 그저 감탄하고 돌아섰을 자연의 신비를 최신 연구로 섭렵했습니다. 이제 ... ...
[과학뉴스] 하늘을 걷는 신종 원숭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원숭이 발견?!최근 중국 중산대학교와 영국 런던동물원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새로운
원숭이 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신종 원숭이는 움직이는 모습이 마치 하늘을 걷는 것처럼 보여 ‘스카이워커(skywalker) 훌록 기번스’라는 이름을 갖게 됐답니다.이 원숭이는 지난 2008년 중국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볼 수 있을까요? 스미스소니언 현미경과 망원경을 이용하면 우리가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큰 박물관인 ‘스미스 소니언 박물관’의 큐레이터와 과학자들이 직접 기획하고 개발한 제품이랍니다.스미스소니언 현미경은 물체를 무려 900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 ...
[과학뉴스] 헤어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내려진 3월 10일,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머리에 붙은 ‘헤어롤’ 떼는 것을 잊은 채 출근해 화제가 됐 ... 로 케라틴 단백질의 결합을 깨트리고, (원하는 모양대로 구부린 뒤) 산화제(2제)를 사용해
새로운
단백질 결합을 만들어냅니다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전자소자 기술 발전은 한계에 달했고, 그보다 작은 세계인 양자메모리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소재가 필요한 상황이다.하인리히 교수는 “홀뮴 원자는 1nm 간격으로 배열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그만큼 원자를 촘촘하게 배열할 수 있어 디지털 정보 저장 밀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며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