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전자는 4개이다. 여기에 최외각전자가 5개인 비소를 불순물로 넣으면 1개의 전자가
남아
양극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또 게르마늄에 최외각전자가 3개인 붕소를 불순물로 첨가하면 게르마늄의 최외각전자 1개에 대응하는 정공(hole)이 생겨 음극으로 움직인다. 자유로워진 전자와 정공이 부도체인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자전축이 약간씩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미행성의 충돌로 생겨난 것으로 추측된다.
남아
있는 미행성들이 분산되는데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태양계의 기원을 거칠게 재구성해 보았다. 그러나 태양계의 특성은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모든 관측사실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은 아직 없다. 최근에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도깨비불은 한 번 나타난 곳에서 자주 출몰한다. 이는 인 가루가 타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남아
있으면서 밤에 인광을 내는 일이 반복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인광은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서도 빛이 나는 차가운 빛(냉광)이다. 민속학자 김종대 박사가 채록한 도깨비불 목격담에서도 많은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하니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당분간 동강댐 건설 계획은 연기된 셈이다.하지만 과제는 많이
남아
있다. 건설교통부는 평가기관를 선정할 때 환경부와 같은 관련부처와 환경단체 실무자들의 의견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다른 문제는 물론 새로운 평가단이 과연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 ...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산으로 20여분 올라가면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는 고성 산성의 성벽이 세군데
남아
있다. 여기서 한 눈에 들어오는 장엄한 동강의 물구비와 우뚝 솟은 백운산, 그리고 강변의 오지마을(제장, 소동) 풍경이 탄성을 자아낸다.소사 마을로 이어지는 길은 줄배만 덩그러니 묶여 있는 강물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미국은 핵폭탄을 사용하겠다는 야심을 버리지 않았다. 아직 희생양으로 삼을 일본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1945년 5월 오펜하이머, 페르미, 로렌스, 콤프턴 등 4명의 과학자는 일본에 핵폭탄을 투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였다. 이 자리에서 오펜하이머는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라는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윌리엄에 따르면 이 별은 굴뚝처럼 연기와 먼지를 뿜어낸다고 한다. 강력한 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먼지입자는 거의 없는데 먼지입자들이 별의 중심부 주위를 아치모양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보고 천문학자들은 두번째 별이 있기 때문일 거라고 추측한다. 달궈진 팬과 불 사이에 먼지입자들이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아인슈타인은 독일을 떠나야 했다.괴팅겐학파의 하이젠베르크(1892-1968)는 히틀러 치하에
남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경우. 그는 많은 과학자들이 히틀러가 싫어 독일을 떠날 때 함께 떠나지 못해 몹쓸 짓을 당했다.1932년 하이젠베르크가 노벨물리학상을 받자 나치스들은 이를 독일 민족의 우수성을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르도록 만들어져 있었다. 이 힐 스톤 가운데 현재는 스톤헨지 바깥쪽 멀리 하나만이
남아
있다. 스톤헨지의 중심 제단에서 힐 스톤을 바라보면 하짓날 태양의 위치가 힐 스톤의 정점과 일치한다. 이것은 이 당시 고대인들이 천체의 운행 과정을 정확히 읽고 있었으며 이 스톤헨지는 그러한 천체의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아니면 아주 먼 거리에 있는 수많은 별들로 구성된 또다른 은하인지도 논쟁거리로
남아
있었다.17세기 초 망원경이 발명되면서 안드로메다 은하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관찰됐다. 망원경으로 이 은하를 처음 관찰했던 사람은 1612년 독일의 천문학자 지몬 마리우스라는 기록이 있다. 당시에는 은하에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