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산이 푸르러요. 특히 뾰족한 잎을 가진 ‘스키(삼나무❶)’와,고유의 향이 있으며 잎의
끝
이 둥그렇고 고사리 모양과 비슷한 ‘히노키(편백나무❷)’ 숲이 많지요임은실 (일본 지질탐험 가이드) 아소산의 토양은 산화철이 많이 포함돼 있어 붉은색을 띠며, 검은 화산재도 많다. 겨울철 기온이 약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➌ 건조 꽈리치기가
끝
난 반죽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건조 시킨다.❹ 건조가
끝
난 반죽을 기름에 튀겨 준다. 이 때 유과가 처음 반죽 크기의 4~5배로 부풀어오른다.➎ 조청을 묻힌 후 튀밥이나 깨를 입힌다.입에 쏙 넣기만 하면 되는 유과가 이렇게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었다니! 만드는 과정이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박사는 생물과 도시로 연구 주제를 계속 바꿔왔지만, 결국 에너지 물리학자의 관점을
끝
까지 버리지 않은 셈이다.단어만 보면 의외로 ‘뻔한’ 사람“정말 이상했습니다. 당장 먹고 살기도 힘든 사람들이 어떤 제품을 원하느냐는 질문에 계속 ‘멋있는(cool)’ 이라는 말을 남발하는 거예요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소설 ‘푸른 꽃’에는 전설속의 푸른 꽃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이 나온다. 긴 방황
끝
에 자연의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인이 된 주인공. 작가의 자전적인 성격이 짙은 이 소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가득하다.200년 전 독일 청년을 시인의 길로 이끈 건 신비로운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소설 ‘푸른 꽃’에는 전설속의 푸른 꽃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이 나온다. 긴 방황
끝
에 자연의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인이 된 주인공. 작가의 자전적인 성격이 짙은 이 소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가득하다.200년 전 독일 청년을 시인의 길로 이끈 건 신비로운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울산대, 탐라대에 각각 하나씩 있는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로 이뤄진다. 여기서
끝
이 아니다. KVN은 한반도를 넘어 중국과 일본까지 아우르는 지름 8000km짜리 동아시아 VLBI(초장거리간섭계) 관측망의 중심이다. 대한민국을 천문강국으로 이끄는 대들보이기도 하다.“KVN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 ...
자신을 이해하면 갈등도 풀린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 세상의 많은 멜로드라마가 남녀 사이에 발생하는 사소한 ‘오해’를 이야기의 소재로 풀어 나간다. 남자와 여자는 서로 사랑하지만 여 ... 말이 나온다. 그것이 개인적 변화를 위한 것이든, 새로운 연애를 위한 것이든, 일단 시작해야
끝
을 볼 수 있다. 새해에는 뭐든 꼭 새롭게 시작하기를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목 부분을 가열해 길게 늘인 뒤 구부렸다. 이때 플라스크의
끝
은 항상 열려있어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했다. 이 플라스크 용액은 공기에 노출돼 있었지만 미생물이 성장하지 못했다. 파스퇴르는 먼지와 미생물이 구부러진 플라스크의 벽에 걸려 용액에 들어가지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고안했다. 바다 속에 수직으로 띄운 파이프는 너울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인다. 파이프
끝
에 달린 밸브는 파이프가 하강할 때 열려 심층수를 들어오게 하고 상승하는 동안에는 닫혀 심층수를 표면으로 옮긴다. 연구팀은 이 밸브가 별도의 외부 전력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실제로 미국 ... ...
태양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계의
끝
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