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개발
한 전자칩은 여러 신호를 동시에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
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인체에 무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5호’ 영상레이더를 기반으로 서남극해의 해빙을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도
개발
했다. 김 단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광역관측 인공위성을 활용해 남극해를 순환하는 ‘남극순환류(ACC·Antarctic Circumpolar Current)’의 패턴 변화도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이렇게 당부했다. “여유를 가지고 취미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야 말로 자기
개발
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임 같은 취미도 상관없는 것 같아요. 물론 중독 수준에 이르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지만요. 가장 중요한 점은 항상 여유를 가지면서도 그 자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성장시켜 나가는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폰 앱 경진대회나 게임
개발
경진대회가 열리는 학교도 많습니다. 컴퓨터 관련 진로를 꿈꾸는 학생이라면 도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앱 만들기나 게임 만들기 자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런 자료를 찾아보면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체세포에서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고, 항암세포 치료제
개발
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응용 가능해 많은 기대를 얻고 있다. 물리 문항교수 : 인공위성이 지구 중심으로부터 지구 반지름(R)의 2배에 해당하는 궤도에서 등속 원운동하고 있을 경우, 이 인공위성의 ... ...
Part 4. 날씨를 정확하게 파악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프로젝트에서는 날씨 예측이 특히 어려운 강원도 지역의 특성에 맞는 수치예보모델을
개발
하는 게 목표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평창 동계 올림픽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올림픽이 되다!Part 2. 얼음을 지배하라!Part 3. 선수 맞춤 장비를 마련하라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주토피아에서 달리기 시합을 하면 어떨까. 공정성을 위한 규칙이 없다면 뻔하다. 토끼는 치타를 이길 수 없다. 시합이 재밌으려면 토끼도 금메달을 딸 수 있게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장애인 스포츠를 위한 이런 규칙을 수학이 만들었다. 놀랍게도 이 규칙만 있다면 비장애인과 함께 순위를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홀로그램 기술을
개발
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개발
된 홀로그램 기술들은 공기 중에 띄운 물체를 볼 수 있는 시야각이 매우 좁거나, 눈에 입체안경 등을 쓰고 봐야 하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맨눈으로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는 3차원 입체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국내에서는 최근 투명망토뿐 아니라 홀로그램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개발
됐다. 노준석 POSTECH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연구에 쓰이는 실리콘을 가시광선 파장인 400~700nm보다 짧은 50~150n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해 메타물질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개발
에도 참여했다. 한국의 라온
개발
에도 참여한 김 교수는 “라온과 일본의 ILC
개발
에 적용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말했다. ILC는 CEPC와 목적이 비슷해 일본과 중국은 가속기 연구에서 경쟁자이자 동시에 협력자 관계를 맺을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ILC와 CEPC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